[굿바이 서울!/조현일]귀농 귀촌의 성패는 생계 해결

  • 동아일보
  • 입력 2017년 5월 13일 03시 00분


코멘트
예전에는 시골로 이주하는 사람들은 대개 정년퇴임하고 장성한 자녀들을 모두 출가시킨 중년에서 노년으로 넘어가는 연령대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이젠 경제적 여유보다 정신적 여유를 더 중요시하고, 행복의 잣대가 변하면서 시골 생활을 즐기려는 연령대가 더 젊어지고 있다.

한창 일을 해야 할 젊은 사람들은 어떻게 제주에서 먹고살까.

1년 넘게 집을 직접 짓고 있는 옆집 형님은 매일 제주도 전역의 풍경을 보며 자전거를 타고, 형수님은 친구들과 담소를 나누며 정원을 가꾸고, 둘이 올레길을 걸으며 맛집 탐방에 나선다. 형님은 육지에서 매달 나오는 건물 월세로 생활을 한다. 현지인이 보면 팔자 좋은 육지 것들이라고 하겠지만, 젊은 시절 남들보다 더 노력한 대가라고 생각한다.

이맘때 제주 해변은 젊은이들로 붐빈다. 관광객도 있겠지만, 이주한 20대 청년도 많다. 제주에선 20대 청년들이 게스트하우스, 펜션, 카페, 식당 같은 관광업소에서 숙식을 해결해 준다는 이유로 아주 적은 돈을 받고 일하는 경우가 많다. 자유로운 사고방식과 행동으로 아름다운 제주를 마음껏 즐기는 그들에게 돈이란 절대 필수적 요소는 아닐 수 있다. 제주는 특히 30, 40대 젊은 가장들의 이주 비율이 높다.

한 가정을 책임져야 할 그들의 무게는 제주로 이주했다고 없어지지 않는다. 제주에서는 도시와 똑같은 일을 해도 월급이 절반 수준이다. 이주민 중 적응하지 못하고 다시 육지로 가는 가장 큰 이유가 여기에 있다.

제주로 와 각자 자기 집을 직접 짓던 형님, 동생들과의 모임이 있다. 애니메이션 감독, 해상운송 임원, 게임회사 개발자, 학원 원장, 회사원, 무역업자, 국문학 교수 등 다양한 직업을 가진 사람들이 제주로 이주한 후 모두 건설업계에서 일하고 있다. 아직 건축 붐이 지속되고 있는 제주에선 다른 직종에 비해 대우도 좋고 안정적인 건설업에 사람이 몰릴 수밖에 없다. 하지만, 이것도 언제까지 지속될 것이란 보장이 없다. 건축 붐이 끝나기 전에 이들이 자신의 경험을 토대로 제주에서의 새로운 도전에 시도하고 성공하길 바란다.

도시에서건 시골에서건 가장 중요한 것은 최소한의 ‘먹고사는 것’이다. 그렇기에 제주로의 이주 준비 중에서 가장 먼저 해야 하는 것이 바로 ‘어떻게 먹고살 것인가’이다. 있는 돈 다 쏟아부어 ‘게스트하우스나 카페 하면서 여유롭게 제주 자연을 즐겨야지’라는 발상은 아주 위험하다. 다른 시골에 비해 급격하게 변하는 제주 상황을 지켜보고, 시장조사도 철저히 해서 먹거리를 해결해야 할 것이다.

―조현일

※필자(42)는 서울, 인천에서 입시학원을 운영하다 2년 전 제주로 이주해 여행 숙박 관련 사업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시골 이주#귀농#귀촌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