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수의 뉴스룸]쿠팡맨, 시작은 선했다

  • 동아일보
  • 입력 2017년 6월 9일 03시 00분


코멘트
김현수 산업부 기자
김현수 산업부 기자
지난달 31일 밤, 기저귀가 다 떨어진 것을 발견했다. 시계를 보니 다행히 자정 5분 전. 지금 온라인으로 주문하면 다음 날 배송이 오니 괜찮다. 쿠팡이 있으니까. 앱을 켰다 소스라치게 놀랐다. ‘로켓배송+2일’ 표시가 있는 것 아닌가. 주문한 다음 날보다 이틀 더 늦게 보내준다는 표시였다.

처우에 항의하는 쿠팡맨의 태업 및 파업이 계속 화제에 오르던 때였다. 노사갈등이 로켓배송에 차질을 불러일으켰다는 생각이 들어 쿠팡에 물었다. 쿠팡 관계자는 “지역별로 배송량 조절 등의 문제가 일시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최근 쿠팡맨 논란과 관련된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지난달 내내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우리 지역 쿠팡 배송에 왜 문제가 있느냐’라는 글이 전국 각지에서 올라왔다. 지난달 30일에는 전현직 쿠팡맨 76명이 청와대 국민인수위원회에 ‘비정규직 대량 해직 사태 탄원서’를 제출했다. 이들은 정규직 전환의 희망으로 열심히 일하는 쿠팡맨을 회사 측이 대량 해고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쿠팡맨은 매출 2조 원 규모의 쿠팡을 있게 한 핵심 서비스다. 대형 유통사도 택배 업무는 외부 회사에 맡긴다. 기존 택배 회사의 기사들은 하나 배달할 때마다 약 800원의 수수료를 받는 낮은 처우에 시달린다. 쿠팡은 달랐다. 택배 업무에 고객 서비스와 속도라는 부가가치를 더해 직접 고용했고, 2014년 ‘로켓배송’ 시스템을 도입했다. ‘열심히 하면 연봉 4000만 원의 정규직이 될 수 있다’는 희망으로 젊은 청년들이 몰렸다.

솔직히 쿠팡의 단골 고객의 한 사람으로서 이 모델이 지속 가능하길 바라 왔다. 배송 직무도 부가가치를 높여 좋은 정규직이 될 수 있다는 발상이 좋았다. 하지만 시장은 냉혹했다. 소비자는 좋은 택배 서비스를 받겠다고 돈을 더 지불하려 하지 않았다. 소비자가 기꺼이 돈을 더 내겠다고 하지 않는 이상 안타깝게도 택배 직무의 시장 가격은 현재의 저임금에 맞춰질 수밖에 없다. 쿠팡은 온라인 최저가 경쟁에 뛰어들면서도 경쟁사 택배 인건비의 4, 5배 수준인 연간 2000억 원을 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쿠팡의 지난해 영업 손실은 5652억 원에 이른다.

회사 측의 장밋빛 약속을 기대한 쿠팡맨의 배신감은 커졌다. 배송 물량은 늘어나는데 추가 고용은 어려우니 쿠팡맨 한 사람당 업무량은 급증할 수밖에 없다. 실적 부담이 커진 회사 측이 정규직 전환 약속을 지키기 어려워지니 불만은 더 커진다. 쿠팡 사례를 보면 경제는 ‘의도’의 문제가 아니란 생각이 든다. 각자의 이기심이 공공의 부(富)로 귀결되기도 하고, 선한 의도가 냉혹한 시장에 부딪혀 좌절되기도 한다.

‘공공부문의 비정규직 제로’와 같은 선언도 마찬가지다. 그 선한 의도는 모두가 공감한다. 단지 경제는 의도와 전혀 다른 결과를 만들 수 있다는 점이 우려를 낳는다. 취재 중 한 경제 전문가는 “배정된 재원을 두고 새로 창출될 공공부문 일자리 수를 나눠보면 최저 임금 수준이 나온다”고 했다. 정규직 하면 일반 국민은 ‘임금’과 ‘고용 안정성’ 두 마리 토끼를 생각하지만 만약 후자만 보장해 주고 생색내면 국민의 좌절감은 커질 것이다. 시장에선 달콤한 약속 전에 냉정한 계산이 우선이다.
 
김현수 산업부 기자 kimhs@donga.com
#쿠팡맨#쿠팡 로켓배송#쿠팡맨 파업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