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박 배기가스로 미세먼지 농도 심각… 부산시-시민단체 MOU 체결
‘클린 부산항 조성 협의체’ 곧 구성
부산항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해 관련 기관과 시민단체가 한데 뭉쳤다.
부산시와 부산해양수산청, 부산항만공사, 한국전력공사, 부산항을 사랑하는 시민모임, 부산항발전협의회는 15일 오후 부산시청에서 ‘클린(clean·깨끗한) 부산항’ 조성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기관별로 미세먼지 관련 정책이 분산돼 있는 데다 예산 확보도 쉽지 않다는 지적이 일자 이들 기관과 단체가 공동협의체 구성에 나서기로 했다.
최근 미세먼지가 국가적 관심사이지만 부산은 안전지대라는 생각들이 많다. 중국발(發) 미세먼지 영향을 직접 받는 서해도 아닌 데다, 바닷바람이 강해 미세먼지가 쓸려나가 공기 질이 좋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실상은 그렇지 않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부산항은 정박하는 대형 선박과 각종 화물을 하역하는 중소형 선박에서 내뿜는 배기가스로 인해 미세먼지 농도가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선박의 주 연료인 벙커C유의 황 함유 기준은 3.5%다. 반면 차량용 연료의 경우 황 함유 기준은 0.001%다. 용량이 같은 엔진을 단 선박과 경유차가 같은 양의 연료를 연소하면 선박에서 배출하는 황산화물의 양이 3500배나 많다는 얘기다.
결국 항만도시는 내륙도시보다 질소산화물 농도는 높지 않지만 황산화물과 미세먼지 농도는 더 높다. 부산의 평균 미세먼지 농도가 서울보다 높고, 세계 유수의 항만들이 ‘미세먼지 오염 항만’으로 불리는 이유다.
부산항에는 연간 컨테이너선 1만5000여 척과 일반 화물선 5000여 척, 원양어선 1100여 척, 수리선박 1300척 등 2만3000여 척이 드나든다. 이들 선박이 내뿜은 황산화물은 상상을 초월한다.
시는 4월 해양수산부에 미세먼지 저감(低減)정책 개발 및 국비 지원을 요청했고, 지난달에는 환경부에 관련 법령 개정을 요구했다. 부산해양수산청은 지난달 부산항 미세먼지 저감 대책 및 이행 방안 마련을 위한 유관기관 대책회의를 개최했고, 부산항만공사는 1일 시민단체와 정책토론회를 열었다.
또 미세먼지 모니터링 시스템을 갖추기 위해 항만구역 안에 대기측정소를 설치하기로 했다. 노후 관공선 7척을 액화천연가스(LNG) 추진선으로 대체하고 접안 선박에는 육상에서 전력을 공급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항만 하역장비인 야드 트랙터의 연료를 경유에서 LNG로 전환하는 사업도 추진한다.
이번 협약으로 시를 비롯한 관련 기관에서는 미세먼지 원인 분석 및 제거를 위한 행정적, 재정적 노력을 한다. 한전은 부산항 정박 선박 및 항만운송장비에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하고 시민단체는 미세먼지 예방을 위한 시민 역량을 모으는 데 힘을 보태기로 했다.
이들은 조만간 ‘클린 부산항 조성 협의체’를 구성한 뒤 실무협의회도 운영한다. 임정현 시 해양환경팀장은 “자치단체와 유관기관은 물론이고 시민단체까지 상생공존의 마음으로 뭉쳐 행복한 부산, 건강한 부산항을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