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사내외 직원 1300명 떠나고 최소 인력 50명만 남게 돼
산업단지 침체-자영업 붕괴 등 경기 침체 도미노로 이어질 듯
1일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폐쇄로 군산 경제는 물론이고 전북 경제 전반에 타격이 예상된다. 군산조선소 폐쇄는 선박 건조물량을 확보하지 못한 현대중공업이 7월부터 군산조선소 가동을 일시 중단한다고 5월 공시하면서 예고됐다.
전북도와 군산시, 지역 정치권과 주민들은 올해 초부터 군산조선소 폐쇄 반대 도민서명운동과 궐기대회에 이어 현대중공업 대주주인 정몽준 현대아산재단 이사장의 집을 비롯해 서울과 세종의 정부청사 앞에서 1인 시위를 벌이는 등 조선소 폐쇄를 막기 위해 동분서주했다. 큰 사업장이 거의 없는 전북에서 군산조선소가 지역 경제에 차지하는 비중이 워낙 크기 때문이다. 문재인 대통령이 군산조선소 존치를 대선 공약으로 내걸었고 대책 마련을 약속해 주민들은 큰 기대를 걸었으나 조선소 폐쇄로 지역 분위기가 극도로 침체됐다.
1조2000억 원을 들여 2010년 문을 연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는 2012년부터 2015년까지 연간 1조 원 안팎씩 총 4조 원가량의 매출을 올린 ‘알짜배기’ 사업장이다. 지난해 수출은 7억800만 달러로 전북 총수출의 9%를 차지했으며 그동안 360억 원의 지방세를 냈다. 세계 최대의 130만 t급 독과 1650t급 골리앗 크레인을 갖춘 군산조선소는 군산 지역 경제의 24%를 차지했다.
도민들의 희망과는 달리 1일부터 군산조선소에는 설비와 공장 유지 보수를 담당하는 최소 인력 50명만 남게 됐다. 마지막까지 실낱같은 희망으로 버티던 임직원 300여 명을 포함해 사내외 협력업체 직원 등 총 1300여 명은 공장을 떠나야 했다. 지난해 4월 5250명이던 근로자 중 2853명이 최근 1년 사이 떠났고, 이 기간 86곳에 달했던 협력업체도 35곳으로 절반 이상 줄었다.
공장 가동 중단으로 근로자의 대량 실직과 협력업체 줄도산이 현실화되면서 지역 경제 타격도 불가피하다. 군산시는 군산조선소 폐쇄로 산업단지 침체, 자영업 붕괴, 인구 감소 등 경기 침체 도미노로 이어질 가능성이 클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군산시는 지난달 30일 ‘군산조선소 가동 중단에 대한 입장’을 내고 “현대중공업에서 재가동 시점을 밝히지 않은 채 가동을 중단하기로 해 군산 조선업 근로자와 시민이 망연자실하고 있다”며 “가동 중단으로 인구 감소, 산단 경기 침체, 자영업 붕괴 등의 피해는 물론이고 2만여 가족이 생계에 위협을 받게 됐다”고 밝혔다.
문동신 군산시장은 “군산조선소 존치는 문 대통령 선거공약이고 이낙연 총리도 조만간 정부의 입장을 밝힌다고 했으니 ‘희망의 메시지’를 기다리겠다”며 “현대중공업은 수주 잔량과 새 수주 물량을 군산조선소에 배정하고 정부는 일자리 창출과 경제 활력을 위해 지원을 서둘러야 한다”고 말했다.
전북도 관계자는 “경제논리를 앞세운 현대 측에 기업의 사회적 역할을 강조하며 끈질기게 폐쇄 철회를 요구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면서 “현실적으로 공장 재가동이 안 되면 우선 실직자에 대한 특별고용지원과 재취업 교육 등 대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박재만 전북도의원(군산)은 현대중공업 경영권 승계 의혹에 대한 조사 결과에 따라 집단 손해배상 청구소송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