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窓]“37명 남은 위안부 할머니, 시간이 없다”

  • 동아일보
  • 입력 2017년 7월 27일 03시 00분


“우리의 이름은 위안부가 아닙니다. 우리는 엄연한 김군자고, 이용수입니다. 우리를 위안부로 만든 것은 단지 일본일 뿐입니다.”

이용수 할머니(89)의 목소리가 떨렸다. 말하는 중간중간 울음이 배어 나왔다.

25일 경기 광주시 나눔의집에서 열린 위안부 피해자 김군자 할머니(91) 영결식에서 이 할머니는 오랜 ‘동지’를 위해 추모사를 읽었다. 연신 손수건으로 눈물을 훔치던 이 할머니는 김 할머니의 영정 앞으로 다가가 “오늘만 울고, 울지 않겠다. 웃으면서 가시라”고 나직이 읊조렸다 .

두 할머니는 오랜 기간 친구처럼 지낸 언니 동생이자 어려움을 함께한 동지였다. 2007년 미국 하원 외교위원회가 마련한 인권보호 청문회에 용기를 내 참석한 증인도 바로 두 할머니였다. 23일 김 할머니의 별세 소식을 듣고 한달음에 빈소에 온 이 할머니는 “간다고 말도 안 하고 왜 그렇게 빨리 갔노, 연락도 없이 갔노…. 편안하게 잘 있어. 위안부 문제 해결하고 언니 뒤따라갈게”라며 흐느꼈다. 절을 하고 일어나 머리부터 가슴까지 십자가를 그렸다. 두 사람은 천주교 신자다.

이 할머니는 사실상 상주 역할을 했다. 이낙연 국무총리를 비롯해 강경화 외교부 장관,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대표, 바른정당 이혜훈 대표, 정의당 이정미 대표 등 주요 인사들은 하나같이 이 할머니에게 다가가 위로했다. 이 할머니는 그때마다 따뜻하게 안아주고 이야기를 나눴다. 이혜훈 대표에게는 “화해·치유재단을 해체한 뒤 일본이 준 10억 엔을 돌려주고 증서를 받아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생전 위안부 문제뿐 아니라 수차례에 걸쳐 전 재산을 기부한 김 할머니의 빈소에는 많은 사람이 찾아 명복을 빌었다. 사흘간 빈소를 찾은 사람은 약 1000명. 지방 곳곳에서 조문객이 왔고 진료나 병문안을 왔다가 빈소를 찾아 국화꽃을 올린 사람도 많았다. 문재인 대통령이 보낸 것을 비롯해 70개가 넘는 화환과 조기가 장례식장을 가득 채웠다.

영결식 다음 날인 26일 나눔의집에는 깊은 침묵이 찾아들었다. 지친 할머니들은 대부분 방을 지켰다. 사흘 내내 빈소를 지킨 이 할머니는 결국 근처 병원을 찾아 수액주사를 맞았다. 안신권 나눔의집 소장은 “이제 정말 (위안부 할머니들에게) 시간이 없다”며 “김 할머니 빈소에 보여준 관심이 위안부 재협상과 위안부 기록물 유네스코 등재 추진으로 이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에 등록된 위안부 피해자 239명 중 생존자는 이제 37명뿐이다.

광주(경기)=권기범 기자 kaki@donga.com
#위안부#역사#생존자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