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우석 사태’에 연루된 박기영 신임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이 “황우석 연구의 진위 여부를 확인하는 역할은 내게 주어지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8일 조선비즈에 따르면, 박기영 본부장은 ‘황우석 사태에 대한 책임이 있다는 지적이 있다’라는 말에 이같이 밝혔다. 앞서 박 본부장은 황우석 사태가 불거졌던 2005~2006년 참여 정부 당시 정보과학기술보좌관을 지냈다.
박 본부장은 “저는 정부에만 있는 사람”이라며 “연구과제는 연구재단을 통해 서울대에 주고, 서울대가 연구자를 관리하는 체계다. 우리에게 연구를 관리 감독하는 직접 기능이 없다. 그 연구에 대해서 소문이 있다는 것은 들었지만, 직접 가서 연구의 진위 여부를 확인하는 역할은 내게 주어지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박 본부장에 따르면, 그는 당시 사이언스지가 황우석 전 서울대학교 수의대 교수의 줄기세포 논문을 받아줬으며, 외국 저명한 학자들이 “굉장히 뛰어난 연구”라는 평을 해서 해당 논문을 전적으로 신뢰했다. 그는 “과학계의 논문평가 시스템이 있지 않나. 나는 과학자라서 진위를 의심하기보다 시스템을 신뢰했다”며 “판결이 났으니 (지금은 줄기세포가) 없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황우석 연구팀에게 수백억 원의 연구비를 몰아줬다’라는 의혹에 대해선 “제가 주도한 연구비가 아니다”고 일축했다. 박 본부장은 “다 부처에서 하고, 경기도에서 무엇인가를 유치하고 그랬을 것이다. 지방자치단체에서 유치하려 한 것”이라며 “통으로 지원한 것은 아니다. 제가 연구비를 해드리거나 그런 적은 없다”고 강조했다.
앞서 청와대는 지난 7일 박기영 순천대 생물학과 교수를 차관급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에 임명했다.
이에 부적절한 인선이라는 비판여론이 비등했다. 박 본부장은 황우석 교수의 논문 조작 파문에 연루돼 2006년 참여 정부 당시 정보과학기술보좌관 자리에서 불명예 퇴진한 이력이 있다. 그는 황 교수의 ‘사이언스’ 논문에 기여한 게 없으면서도 공동저자로 이름을 올려 빈축을 산 바 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