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경북 포항에서 발생한 규모 5.4 지진에 지열발전소가 영향을 끼쳤을 수 있다는 가설이 제기됐다.
이진한 고려대학교 지질학과 교수는 이날 오후 방송한 JTBC ‘뉴스룸’에서 “포항 북구 쪽에서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을 예측하고 예의주시해 왔다”며 “포항 쪽에 지열발전소가 있다. 그 지열발전소에서 우리가 느끼지 못하고 지진계에만 기록되는 미소지진이 자주 일어나 위험하다고 저희 연구진이 토의를 했다”고 밝혔다.
이 교수는 “(지열발전소가) 완공은 안 됐는데 4.5km 깊이까지 구멍을 2개 뚫었다”고 전했다. 이 교수에 따르면 지열발전소는 구멍 한 곳에 불을 주입해 지하 깊이까지 들어가 물이 데워지면 나오는 수증기로 터번을 돌려 발전을 하는 것이다. 외국 화산지대는 수십 미터, 수백 미터만 뚫어도 발전에 필요한 온도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한국처럼 온도가 낮은 지역에서는 4.5km 정도를 뚫어야 해당 온도를 얻을 수 있다.
이 교수는 “암석에 불을 집어넣게 되면, 특히 (구멍이) 깊어지면 깊어질수록 수압이 높아진다. 수압이 높아지면 암석이 쉽게 깨진다는 것은 이론으로 정립돼 있다”고 부연했다. 지열발전소를 건설하는 과정에서 4.5km 깊이까지 뚫은 대규모 구멍 2개가 단층에 영향을 줬을 수 있고, 그것이 이번 지진 발생의 큰 이유 중 하나일 가능성이 있다는 것.
‘그 정도의 구멍을 지하 4.5km 깊이로 뚫은 것이 지진에 영향을 줄 수 있느냐’는 물음에 이 교수는 미국의 사례를 들었다. 그는 “유전이 많은 오클라호마와 텍사스 지역에서 꾸준히 우려가 제기됐다. 이 곳에서 석유 회수율을 높이기 위해 물을 강제로 주입해서 압력을 높인 다음 암석을 파괴한다. 물을 많이 주입하고 석유를 많이 회수했는데, 그러면서 지진이 급격하게 늘었다. 이를 ‘유발지진’이라고 부르는데, 예도 많고 증명이 잘 된 현상들”이라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진앙과 지열발전소를 건설하는 곳은 2km 정도 떨어져 있다. 저희 연구진이 걱정하면서 ‘정부에 얘기를 해야 하지 않느냐, 이런 위험성은 좀 검토를 해야 되겠다’고 하는 와중에 지금 이 지진이 난 것”이라며 “저희는 거기에서 지진이 날 거라고, 상당히 위험하다고 봤는데 거기에서 5.4의 지진이 났다는 것은 우연이라고 보기에는(무리가 있다)”이라고 전했다.
이 교수는 일정 부분은 ‘인재’일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지열발전소 때문에 이번 포항 지진이 발생했다고 100% 단언을 할 수는 없지만, 가능성은 상당히 크다. 연구진이 현장에서 데이터를 받고 있는데, 분석 결과가 나오면 확실히 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