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까지 자동식별 시스템 개발… 어망에 부착된 기기로 위치 파악
폐어구 발생 막아 어족자원 보호… 어망 분실감소-해양사고 방지 기대
광주과학기술원 한·러 MT-IT 융합기술연구센터가 10월 초순 전남 장흥군 회진면 해상에서 수중부이 등 해양수산과 정보통신기술을 접목시킨 어구 자동식별 모니터링 시스템을 실험하고 있다. 광주과학기술원 제공
폐어구로 인한 폐해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광주과학기술원이 최고의 정보통신기술(ICT)을 기반으로 어민들이 스마트폰으로 어구의 상태 및 위치 등을 확인하는 차세대 어구 시스템 개발을 본격화하고 있다. 세계에서 처음 개발되는 이 기술은 폐어구 발생 방지로 어족자원 보호는 물론이고 어망 분실 감소, 무분별한 어획과 해양사고 방지 등 다양한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된다.
○ 물고기 씨 말리는 ‘유령어업’
3일 해양수산부 등에 따르면 국내 어선 6만7000척이 한 해 사용한 어구는 13만1000t 정도이며 4만4000t 정도가 유실되는 것으로 추정한다. 바다에 유실·침적된 나이론 소재 폐어구는 썩지 않아 물고기의 씨를 말리는 한 원인이다. 이처럼 폐어구에 걸려 물고기들이 죽는 것을 속칭 유령어업이라고 부른다. 연간 어획량 10%가량이 유령어업 피해를 입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해수부는 유령어업 피해 감소 등을 위해 2007년부터 친환경어구보급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친환경(생분해성) 어구는 2년 안에 분해돼 환경오염, 유령어업 피해를 최소화한다. 하지만 어민들 사이에는 일반 어구에 비해 친환경 어구는 딱딱하고 신축성이 떨어진다는 평이 많다. 전남도 관계자는 “친환경 어구의 보급 확대를 위해 9만 원짜리 어망 한 개를 구입하면 70%가량을 지원해주고 있지만 어획량이 감소한다며 꺼리고 있다”고 했다.
해수부는 또 폐어구 수거사업을 벌이고 있지만 한 해 발생하는 4만4000t 가운데 1만1000t 정도만 수거된다. 해수부 관계자는 “2020년 한국의 바닷속에 폐어구가 37만 t가량 쌓여 있을 것으로 우려돼 사전 투기방지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고 했다.
○ “스마트폰으로 어구 확인”
광주과학기술원 한·러 MT-IT 융합기술연구센터는 올해부터 2022년까지 6년 동안 차세대 기술인 어구 자동식별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사업을 진행한다고 3일 밝혔다. 시스템은 어망 등이 유실돼 바다에 가라앉거나 떠내려가면 부착된 기기가 어민들의 스마트폰으로 위치, 상태 등의 정보를 보내주는 폐어구 발생 사전방지 대책 핵심이다. 스마트폰 정보 제공으로 폐어구가 감소해 해양오염과 유령어업 피해를 줄일 것으로 기대된다. 또 해양안전 사고 예방과 어민들 간 갈등 해소, 과도한 불법 초과 어구 사용 제한 등 다양한 효과가 예상된다.
융합기술연구센터는 10월 시스템 개발 첫 단계로 전남 장흥 바다에서 전파실험을 했다. 실험은 어망 상태의 정보를 알려주는 기기의 전파 전송 거리 등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었다. 홍남표 융합기술연구센터 부센터장은 “드넓은 바다에서 어구에 장착된 기기 전파 전송거리가 20km 이상 되고 통신료가 저렴해야 한다”고 말했다.
융합기술연구센터는 내년부터 3년간은 어구에 설치될 수중기기, 어구 식별 부이, 관제시설 등 각종 기기와 시스템을 개발하고 2021년부터 2년간 현장실험을 할 예정이다. 수중기기에는 5세대 통신기술이, 수중기기와 부이 등의 위치 확인에는 사물인터넷 기술이 적용되는 등 수산 ICT융합기술 개발 모델이다.
시스템 개발에 국비 149억 원, 민간부담금 36억 원 등 185억 원이 투입된다. 수중장비 등 분야 전문기업 9곳과 제주대 등이 참여하고 있다.
김기선 융합기술연구센터장은 “어민들이 스마트폰과 어선에 설치된 단말기로 어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저렴한 시스템을 개발할 계획”이라며 “스마트 어구 시스템이 활용되면 연간 2000억 원 이상의 경제 효과가 생길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