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일 인천 영흥도 앞바다에서 낚싯배와 유류운반선 추돌 사고가 발생한 가운데, 사고가 발생한 영흥대교 인근이 사고 위험이 항상 존재하는 해역이라는 전문가의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해양대학교 항해학부 공길영 교수는 4일 YTN라디오 ‘신율의 출발 새아침’과 인터뷰에서 폭이 좁은 뱃길 특징을 지적하며 이같이 말했다.
공 교수는 “다리(영흥대교) 밑 양쪽에 암초가 있어서 폭이 1km 정도니까 낚시어선과 같은 소형 선박인 경우에는 폭이 좁다고 말하기는 어렵고, 대형 선박이 지나가기에는 좀 좁은 폭”이라며 “그런데 그쪽에 교통량이 많고 그 시간대에 낚시어선이나 다른 선박들의 출입항이 잦기 때문에 사고 위험이 항상 존재하는 그런 해역이라고 할 수 있다”라고 밝혔다.
해경과 정부의 조치는 제대로 이뤄졌다고 봤다.
공 교수는 “지금 22명 중 생존자가 일곱 분 정도 되는데, 대부분의 생존자가 사고 순간에 물 밖으로 튀어나와서 구조된 분들과 조타실 내에 에어포켓 안에 들어가 있다가 한 시간 정도 지나서 구조된 그런 경우”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해경이 마침 가까이 있었다. 그래서 고무단정을 통해가지고 빨리 신속하게 현장으로 이동해서 수색구조에 성공한 부분도 있고, 또 정부의 조치도 그동안에 많은 훈련과 교훈을 통해서 신속하게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라고 말했다.
그러나 해경은 최초로 신고가 접수된 지 33분 후에 사고 현장에 도착했고, 잠수대는 1시간이 지나서야 도착했다. 이에 일각에서는 ‘고속단정의 경우 5분 정도에 도착할 수 있는 거리’라는 주장과 함께 ‘해경의 늑장 대응 아니냐’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해경 측은 “구조 보트가 정박해 있는 장소, 그 다음에 이동지시를 받고 항구를 빠져 나와서 가는 시간, 이런 것들을 종합하면 늦은 시간은 아니다”라고 해명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공 교수는 “고속단정에는 물 위에 떠있는 사람만 건져 올릴 수 있고, 또한 40분 후에 P-12라는 경비정이 도착했지만 이 경비정에도 수중 수색을 할 수 있는 잠수 수색사는 없다”라고 설명하면서 “이렇게 되다 보니까 한 시간이 지나서 선내에 있는 생존자를 구하게 되는데, 해경이 현장대응 능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이런 잠수능력을 갖춘 수색자들을 현장에 배치하는 그런 개선조치가 필요하다고 생각이 됐다”라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