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객선 승객이 다른 대중교통 수단으로 쉽게 갈아탈 수 있도록 하는 복합환승센터 건립(조감도)이 지연돼 부산항 북항(北港)재개발사업이 난항을 겪고 있다. 부실한 민간 사업자에게 환승센터 건립을 맡긴 부산항만공사(BPA)가 따가운 눈총을 받고 있다.
환승센터는 부산 중구와 동구에 걸친 2만6000m² 터에 약 4700억 원을 들여 지하 3층, 지상 21층, 연면적 16만5000m² 규모로 짓는다. 환승시설과 호텔, 쇼핑몰, 스파 등이 들어설 계획이다. 부산 원도심과 부산역, 북항재개발사업지를 연결해 부산시민과 관광객 이동에 편의를 제공한다. 부산역 청사 대합실에서 충장로를 가로지르는 초대형 보행덱과 환승센터 옥상이 연결돼 부산역 역세권과 부산항 항세권(港勢圈)을 잇는다.
그러나 건폐율(3층 이상 25%)이 다른 상업시설에 비해 낮은 데다 1, 3층을 교통시설물과 광장 등 공공시설로 규제해 사업자 선정에 어려움을 겪었다. BPA는 지난해 두 차례 사업자 공모를 실시했지만 이런 이유와 건설 경기 침체로 모두 유찰됐다.
이 같은 상황에서 북항재개발지역의 미래 성장 가능성에 주목한 D사와 다른 5개 업체가 컨소시엄을 구성해 사업에 뛰어들었다. 두 번 유찰되면 수의계약이 가능하다는 법령에 따라 BPA는 지난해 11월 이 컨소시엄을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했다. 그해 12월 BPA와 컨소시엄이 1000억 원 상당 토지매매 계약을 체결할 때만 해도 사업은 순조로워 보였다.
그러나 최근 토지매매 계약금 100억 원을 주간사회사인 D사가 아니라 컨소시엄의 다른 구성원인 P사가 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또 D사는 올 4월 특수목적법인(SPC)을 설립하고 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하려 했다. 하지만 자금 투자를 약속한 금융사가 “건축허가가 나면 자금을 지원하겠다”고 밝혀 계약금을 받지 못한 P사의 불만이 커지며 내부 갈등이 심해졌다.
환승센터는 2021년 완공할 계획이었지만 적어도 1년 이상 늦춰지게 됐다. 2019년 완공 예정인 부산역 보행덱도 짓고 나서 3년 이상 방치될 수밖에 없다. BPA가 수천억 원의 국책사업을 추진하면서 사업자 검증이 부실했다는 비판이 지역사회에서 일고 있다.
BPA 관계자는 “컨소시엄 내부에서 계약금 납부 위임이 이뤄졌기 때문에 주간사회사인 D사 대신 P사와 매매계약을 체결한 것은 법적으로 문제가 없다는 것을 확인했다”면서도 자금 투자가 늦어지는 문제에 대해서는 “계약할 때 사업자가 금융사와의 확약서를 첨부해 예상하지 못했다. 사업 진행이 지연되는 건 현재로선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업계 관계자는 “북항재개발사업이 지지부진하다는 비판이 이전에도 몇 차례 있었음에도 방관하는 듯한 BPA의 태도는 변함이 없다”고 꼬집었다. BPA 내부에선 D사 컨소시엄과의 계약을 해지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지만 손해배상 문제로 뾰족한 대안을 찾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