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 투 더 동아/12월 16일] ‘12번째 선수’ 붉은 악마의 탄생

  • 동아일보
  • 입력 2017년 12월 15일 16시 33분


2002년 한일 월드컵 당시 거리 응원전을 펼치는 붉은악마들.  동아일보DB
2002년 한일 월드컵 당시 거리 응원전을 펼치는 붉은악마들. 동아일보DB
‘붉은 악마’는 1983년 멕시코 세계청소년축구대회 당시 한국 대표팀이 4강에 올랐을 때 해외 언론들이 놀라워하면서 붙인 이름이었다. 언론들은 한국팀의 붉은색 유니폼에 착안해 이같이 불렀다.

1995년 12월 16일 PC통신 하이텔의 ‘축구동호회’ 운영자 10명이 서울 대학로의 칸타타카페에서 모여 축구 응원문화에 관한 의견을 나눴다. 단체로 축구를 관람하던 이 모임은 조직적인 응원 단체를 갖추자는 취지로 ‘그레이트 한국 서포터스 클럽’을 발족시켰다. 이후 ‘붉은 악마’로 불리는 서포터즈 단체의 출발이었다.

붉은 셔츠를 입고 단체로 관람을 하던 이 서포터즈들이 집중 조명을 받은 건 1997년 9월 도쿄에서 벌어진 일본과의 원정경기에서였다. 기적 같은 역전승을 거두면서 프랑스월드컵 본선에 진출한 것도 화제였으나 일본의 대규모 응원단 ‘울트라 닛폰’에 맞서 응원전을 펼친 ‘붉은악마’의 활약은 전국적인 유행을 불러 일으켰다. “붉은 옷, 붉은 모자, 붉은 신발 등 거리에 붉은 패션이 넘실댔다. 심지어 머리를 붉게 염색하는 10대들도 생겨났다. 아줌마 할아버지 붉은 악마들도 등장했다. 서울의 유명 술집 웨이터 이름에 박찬호 선동렬 차범근에 이어 붉은 악마가 오른 것도 바로 이때였다.”(동아일보 1997년 12월 23일자 13면)
축구 라이벌인 한일전에서 붉은악마들의 활약은 돋보였다. 동아일보 1997년 12월23일자 13면에서 ‘붉은악마’ 신드롬을 다뤘다.
축구 라이벌인 한일전에서 붉은악마들의 활약은 돋보였다. 동아일보 1997년 12월23일자 13면에서 ‘붉은악마’ 신드롬을 다뤘다.

붉은 악마의 위력은 2002년 한일 월드컵 때 분출됐다. 개막과 함께 연일 한반도에 울려 퍼진 건 ‘대~한민국’과 ‘오~필승 코리아’였다. ‘대’자를 길게 내지른 뒤 ‘한, 민, 국’을 강하게 끊어서 발음하는 ‘대한민국’ 구호는 ‘그레이트 한국 서포터스 클럽’이 결성된 1995년 12월 당시 만들어졌다.

경기 때마다 붉은 악마들은 거리 응원전을 펼쳤다. 붉은 옷과 붉은 액세서리로 몸을 두르고 거리에서 만난 이들은 처음 보는 얼굴이어도 반갑게 웃으며 함께 목청을 높였다. 소설가 한수산 씨는 동아일보 기고에서 “왜 우리는 집의 TV를 두고 거리로 내달렸는가. 그것은 공동체가 없이 나 혼자 즐기는 재미는 즐거움이 아니라는, 젊은이들이 보여준 열린 가슴의 어깨동무였다”(2002년 6월 27일자 7면)며 찬사를 보냈다. ‘워싱턴포스트’가 한일월드컵 최고의 장면으로 ‘붉은 악마 응원’을 꼽을 만큼 활약은 대단했다. 11명의 축구선수에 이은 12번째 선수로 부를 만했다.
붉은악마들에게 응원은 순수하게 재미난 것이다. 붉은 옷과 액세서리를 두른 이들은 처음 봤어도 응원으로 하나가 된다. 동아일보DB
붉은악마들에게 응원은 순수하게 재미난 것이다. 붉은 옷과 액세서리를 두른 이들은 처음 봤어도 응원으로 하나가 된다. 동아일보DB

내년 러시아 월드컵을 앞두고 ‘역대 최악의 조 편성’이라는 평이 나온다. 그러나 축구 대표팀 손흥민 선수가 “어떤 팀이든 우리보다 강하고 어려운 상대이지만 공은 둥글다”고 밝히는 등 선수들은 각오를 다지고 있다. 1997년 도쿄 경기가 끝난 뒤 차범근 감독은 “경기장을 가득 메운 관중들의 응원 함성이 아직도 귀에 쟁쟁하다”면서 “우승은 선수들의 기량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해준 모든 축구팬들의 몫”이라고 했다. 대표팀의 강한 승부욕, 그리고 붉은 악마의 뜨거운 함성이 더해진다면 죽음의 조일지라도 의외의 승전보를 전해주지 않을까.

김지영 기자 kimjy@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