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가 시(市) 출범 70주년, 광역시 승격 30주년을 맞는 내년을 ‘대전 방문의 해’로 정하고 중부권 관광거점으로 도약하기 위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한다. 1일 대전시에 따르면 내년 대전 관광객 유치 목표가 500만 명으로 정해졌다. 이는 2016년(349만 명)보다 43% 많은 것이다. 이를 위해 관광 인프라 구축 및 특별 이벤트, 각종 행사 등 6개 분야 46개 과제에 81억8000만 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전국 광역 및 권역별 자치단체는 대규모 관광객 유치를 위해 ‘지역 방문의 해’를 추진해 왔다. 2014년 전북 남원시, 장수군, 전남 곡성군, 구례군 등 7개 기초자치단체는 ‘지리산권 방문의 해’를 선정해 운영했으며, 2015년에는 광주시와 전남도가 KTX호남선 개통과 광주 하계 유니버시아드대회 개최를 계기로 ‘남도 방문의 해’, 지난해에는 울산시와 전북도, 경기 광명시, 전남 강진이 각각 지역 방문의 해로 정했다. 올해는 제주, 전라, 창원 지역이 각각 방문의 해로 정했다.
대전시가 ‘대전 방문의 해’를 운영키로 한 것은 다소 늦은 감이 있다. 하지만 타 시도의 성공과 실패 사례를 벤치마킹할 수 있다. 대전시는 우선 김택수 정무부시장을 위원장으로 임명하고 15명의 각계 전문가로 구성된 추진위원회를 구성해 1일 첫 회의를 가졌다. 이날 회의에서 정강환 배재대 교수(관광컨벤션이벤트학과)는 “문화예술과 대덕연구단지, 유성온천 등을 활용한 특화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안여종 대전문화유산울림 대표는 “전문가들이 차기 대전시장에게 관광분야 공약을 힘 있게 제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최철규 대전마케팅공사 사장은 “교통 분야 관광 인프라의 확충이 더욱 절실하다”고 말했다.
대전시는 앞으로 실무협의회와 추진위원회 운영을 통해 정책 과제를 발굴, 선정할 예정이다. 또 전국 규모의 문화행사 및 체육행사, 국제행사 유치로 방문 요인을 확대하고 각 부서 간 협업을 통한 국비 등의 확보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참여 분위기 조성을 위해 시민 100여 명으로 서포터스를 운영하고 관광종사자 팸투어 및 관광홍보체계 구축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화섭 대전시 문화체육관광국장은 “지역 특화 관광 콘텐츠를 강화하는 등 매력적이고 흡인력 있는 관광 인프라를 확충해 대전을 중부권 관광의 거점으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