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미세먼지 비상저감(低減)조치로 도입한 대중교통 무료 운행 정책을 철회했다. 시는 27일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 개선 대책을 발표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시는 서울 지역 초미세먼지(PM2.5) 평균 농도가 ‘나쁨’(50μg 초과)이고 이튿날도 그렇게 예보되면 비상저감조치의 하나로 지하철과 버스 무료 운행 조치를 시행했다. 그러나 대기질 개선 효과를 입증하지 못했고, 한 번 시행할 때마다 약 50억 원이 들어 ‘세금 낭비’라는 지적이 많았다.
시는 그 대신 저감조치가 발령되는 날 차량 2부제를 실천한 차량에 마일리지를 부여한다. 올 하반기부터는 저감조치가 발령되면 2005년 12월 이전 등록된 2.5t 이상 경유차는 오전 6시∼오후 9시 서울 전 지역 운행을 금지한다. 내년부터 질소산화물(NOx) 등을 많이 배출하는 차량은 종로구와 중구에서 운행이 제한된다.
댓글 10
추천 많은 댓글
2018-02-28 05:55:19
서울 시민은 섭섭하겠네. 계속 공짜 차 탈 수 있었는데. 어찌하여 이런 자를 시장으로 뽑았을까이...
2018-02-28 04:19:40
문재인은 원전 공론화 헛지럴로 천억 날려먹고 박원순은 미세먼지 무료 승차로 수백억 날려먹고 박근혜식으로 판결내리면 두 종자 모두 징역 30년에 벌금 천억이겠네 ㅋㅋㅋ
2018-02-28 08:34:24
서울은 부자라서 돈남아 썩는데 세금 완전 면제하도 된다. 선거때가 되니 온갖 여언병 짓거리 다하제. 국방의무도 공짜인간이 공짜 서비스에 기분 째지는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