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이 가빠왔다. 가슴이 두근거렸다. 속에서 무언가 차오르듯 목이 답답했다. 옆에 있던 아들이 “엄마, 왜 자꾸 한숨을 쉬어”라고 물었다. 아무 말도 할 수 없었다. 그저 컴퓨터 모니터만 뚫어져라 쳐다봤다.
여지수 씨는 지난달 26일 ‘미투(#MeToo·나도 당했다) 운동’에 동참했다. 폭로 대상은 1997년 제자였던 자신을 성추행한 김석만 전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67·연극연출가). 당시 30대였던 여 씨는 21년간 고통을 겪다가 겨우 용기를 내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글을 올렸다. 하지만 자신의 폭로에 달린 댓글을 보고 여 씨는 다시 충격을 받았다. ‘소설 같다’ ‘글 실력 자랑하냐’ 등 비아냥거리는 댓글이 셀 수 없었다.
여 씨의 폭로가 있던 날 김 전 교수는 사과문을 발표했다. 하지만 여 씨의 답답한 심경은 풀리지 않았다. “사죄와 용서를 구한다”는 김 전 교수의 사과문에서 여 씨는 진정성을 느끼지 못했다고 한다. 오히려 자신의 미투 후 악성 댓글까지 이어지면서 상처가 더욱 깊어졌다. 며칠간 힘겨워하던 여 씨는 그동안 하지 않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활동을 시작하기로 했다. 여 씨는 “SNS를 통해 그동안 사람들에게 하지 못한 이야기를 하며 소통하려고 한다. 더 이상 그늘 속에 숨으면 안 될 것 같다”고 말했다.
여 씨처럼 미투 당사자 중에는 성폭력 피해 폭로의 후유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상대방이 사실을 부인하거나 제대로 사과하지 않은 탓도 있지만 어렵게 털어놓은 내용을 거짓이나 과장된 것이라고 폄훼하는 일부 의견 탓이다. 심지어 피해자 신상을 둘러싼 정체불명의 괴담이 돌기도 한다. 천주교 수원교구 한모 신부의 성폭행 시도를 폭로한 김민경 씨는 “한 신부의 사과를 7년 동안 받아주지 않았다”는 유언비어에 시달리고 있다. 김 씨의 심리상담사는 SNS에 “이는 사실이 아니다. 피해자에게 2차 가해가 되고 있다”고 호소했다.
성추행이 폭로된 배우 최용민 씨(65)가 교수로 있던 명지전문대의 경우 같은 학과 남성 교수 대부분에 대해 성추문 의혹이 제기된 상태다. 그러나 교수 사과 등 해결 방식을 놓고 학교 내에서 논란이 일면서 2차 피해가 우려되자 여성 교수와 학생회가 나서서 적극적인 해결을 약속하기도 했다.
역시 미투에 동참했던 모델 A 씨(23·여)는 앞으로 언제 어디서든 일할 때 반드시 사진을 찍고 녹음하기로 마음먹었다. 앞서 그는 지난달 25일 “사진작가가 반나체 의상을 강요하고 촬영했다”는 글을 올렸다. 그러나 사진작가는 “합의한 사안”이라고 주장했다. A 씨는 당시 “무리한 의상”이라며 분명히 거부했지만 증거가 없어 혼자 속을 태우고 있다. A 씨는 “폭로 글을 5차례나 쓰고 다시 썼다. 하지만 증거가 없어 도리어 거짓말쟁이로 몰렸다”고 털어놨다.
피해 여성들이 가장 걱정하는 건 미투가 마치 유행처럼 일시적인 현상에 그치는 것이다. 각계에서 용기 있는 폭로가 이어져야 사법 처리 가능성이 높아지고 구조적인 문제도 해결될 것으로 기대해서다. 사진작가 배병우 씨(68)의 성추행을 폭로한 B 씨(29·여)는 요즘 하루에도 몇 번씩 미투 관련 뉴스를 검색한다. 새로운 폭로가 나오면 주변 사람에게 기사를 보내준다. 한 사람이라도 더 봤으면 하는 마음에서다. B 씨는 “행동해야 (잘못된 것이) 바뀐다는 사실을 새삼 깨달았다”고 말했다.
이들은 또 미투가 남녀 간 ‘편 가르기’로 전락하면 안 된다고 입을 모았다. 나쁜 의도에 의한 거짓 폭로 가능성을 특히 경계하는 이유다. 자칫 전체 미투의 진정성이 훼손될 수 있다는 것이다. 여 씨는 “미투에 참여한 뒤 동기들로부터 많은 격려를 받았다. 그들도 피해를 봤지만 처지가 있어 말을 못 하고 있다. 숨죽여 있는 사람들이 아직도 많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