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희룡 제주도지사 인터뷰
“4·3은 냉전이 빚어낸 아픈 과거,
강요된 침묵의 제주 역사 아닌 대한민국의 역사로 널리 알릴 것”
원희룡 제주도지사는 21일 “제주4·3 희생자 추념일인 4월 3일을 지방공휴일로 지정한다”고 밝혔다. 법률에 명시되지 않아 그동안 논란이었던 ‘4·3추념일 지방공휴일 지정’ 관련 조례를 제주도의회가 의결함에 따라 이를 수용한 것이다.
지방공휴일은 민간에는 적용되지 않고 제주도와 하부 행정기관, 도의회 공직자 등에만 한정적으로 적용된다.
원 지사는 “대립과 갈등을 청산하고 진정한 도민 화합을 이루어 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며 “4·3의 전국화와 세계화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원지사 자신도 4·3 유가족이다. 큰아버지, 큰어머니, 사촌 형과 누나 등이 희생된 아픔을 갖고 있다.
―4·3의 전국화, 세계화는 어떤 의미인가.
“4·3은 냉전과 민족 분단이 빚어낸 광풍 속에서 제주도민 3만여 명이 희생당한 대한민국의 역사다. 4·3에 대한 강요된 침묵으로 그동안 제주만의 역사에 머물렀다. 진실을 모르는 국민이 많다. 올해 70주년을 계기로 대한민국의 역사라는 점을 국민들에게 알리고 싶다. 4·3 바로알기와 더불어 4·3희생자를 추념하고 ‘평화와 인권’, ‘화해와 상생’의 정신을 국민과 세계인에게 확산하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그동안 진상 규명과 명예회복을 위한 사업이 추진됐다. 앞으로의 과제는…
“4·3의 극복은 대한민국 현대사의 아픔을 치유하는 과정이기도 하다. 희생자 배상·보상, 트라우마 치유센터 건립, 지속적인 진상 규명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다. 올해를 4·3의 완전한 해결을 위한 새로운 원년으로 삼겠다.”
―당부하고 싶은 말은.
“4·3의 역사를 좁히면 가족의 역사다. 제주도민들은 이러한 아픔을 오랜 세월 동안 가슴에 묻고 살고 있다. 그러면서도 도민들은 화해와 상생의 공동체를 만들어 왔고, 4·3의 완전한 해결을 위한 대장정에 함께하고 있다. 제주도민들의 담대한 여정에 국민 모두의 깊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린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