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M군산공장 폐쇄 앞두고 인구 급감… 올해초 2개월간 4012명 순유출 기록
군산조선소 이어 악재 현실화 우려
한국GM 군산공장 폐쇄를 앞두고 전북 지역 인구 감소 속도가 빨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통계청의 국내 인구이동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달 전북에서 타 지역으로 빠져나간 인구는 타 지역에서 전북으로 들어온 인구보다 2290명 많았다. 1월 1722명보다 568명이 늘었다. 전북을 떠난 인구수에서 타지에서 전북으로 이전한 인구수를 뺀 숫자인 순유출이 갈수록 늘고 있는 것이다.
전북은 1, 2월 두 달 새 4012명의 순유출을 기록해 2017년과 2016년 1, 2월 순유출 2405명과 2214명에 비해 2배 가까이로 늘었다. 지난해 7월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가 문을 닫은 데 이어 한국GM이 5월 말까지 군산공장을 폐쇄할 계획이라고 밝힌 여파가 현실화하는 것이다.
공장 폐쇄의 직접 영향권에 있는 군산시는 2월에만 534명의 인구 순유출을 기록했다. 이는 2012년 4월 785명의 순유출을 기록한 후 70개월 새 가장 큰 폭이다. 조선업과 자동차산업 등의 구조조정이 본격화하면서 전북을 떠나는 인구는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전북은 지난해 7206명이 순유출돼 2011년 1721명이 순유입된 후 6년 연속 순유출을 기록했다.
지난해 전북의 주민등록인구는 184만7461명으로 1년 전보다 0.3%(7314명) 줄었다. 더 큰 문제는 전북의 인구 유출이 젊은 연령대에 집중되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해 20대가 7056명으로 가장 많이 순유출됐고 30대(1599명) 10대(491명) 순으로 유출이 많았다.
지난해 전북도 내 기초단체별로는 완주군(561명), 고창군(422명), 진안군(414명) 순으로 순유입이 많았고 전주시(3882명), 군산시(2531명), 정읍시(663명) 순으로 순유출이 많았다. 완주군은 공단과 혁신도시 이전, 전원주택 단지 등으로 유입 인구가 늘었고 고창과 진안은 귀농·귀촌자가 늘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타 시도에서 전북으로 전입한 사람은 6만4709명이었고 전북에서 타 시도로 빠져나간 사람은 7만1915명이었다. 지난해 타 시도에서 전북으로의 전입은 경기(1만6612명·25.7%)가 가장 많았고 서울(1만3179명·20.4%), 전남(5893명·9.1%) 순으로 전체의 55.1%를 차지했다. 10년 전 타 시도에서 전북으로의 전입은 경기(27.9%), 서울(23.0%), 충남(8.4%) 순이었다. 전북도민의 전출 지역은 경기(1만8075명)가 가장 많았고 서울(1만4930명), 충남(6156명) 순으로 수도권과 충청권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전북도 관계자는 “오래전부터 시군마다 인센티브 제공 등 다양한 인구 늘리기 정책을 펴고 있지만 공무원 주민등록 이전 등 가시적인 성과에 치우치고 젊은층의 인구 유출을 막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