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 수호” 캐나다영주권 포기한 女장교

  • 동아일보
  • 입력 2018년 6월 2일 03시 00분


140기 공군 학사사관후보생 임관식
최선경 소위, 高1때 가족과 이민… 학교서 전쟁참상 듣고 입대 결심
손찬호 소위는 3대째 공군 임관

해외 영주권을 포기하고 공군 장교로 임관한 최선경 소위. 최 소위는 2016년 캐나다 영주권을 취득했지만 입대하기 위해 영주권을 포기했다. 공군 제공
해외 영주권을 포기하고 공군 장교로 임관한 최선경 소위. 최 소위는 2016년 캐나다 영주권을 취득했지만 입대하기 위해 영주권을 포기했다. 공군 제공
“해외에 살면서도 대한민국의 자유와 평화를 수호하는 군인이 꼭 되고 싶었습니다.”

1일 경남 진주의 공군 교육사령부에서 열린 제140기 공군 학사사관후보생 임관식에서 공군 장교로 임관한 최선경 소위(여·25)가 밝힌 당찬 포부다.

최 소위는 고교 1학년(2009년) 재학 중 가족과 함께 캐나다로 이민을 가서 고교를 마친 뒤 국내 대학에 진학했다. 2016년에 캐나다 영주권을 취득했지만 올해 1월 공군 학사후보생으로 입대를 결심하고 영주권을 포기했다. 해외 영주권을 포기하고 공군 여군 장교가 된 사례는 최 소위가 처음이다.

캐나다 고교 시절에 만난 각국의 난민 출신 친구들로부터 전쟁의 참상을 전해 듣고서 조국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깨닫고 그 연장선에서 공군 입대를 결심했다고 그는 전했다. 최 소위는 “조국의 푸른 하늘 수호에 헌신하는 공군 장교가 되겠다”고 말했다.

이날 임관식에서 손찬호 소위(22)는 할아버지(손호인 예비역 공군 준장·공사 3기)와 아버지(방송인 손범수 예비역 공군 중위·학사 81기)에 이어 3대째 공군 장교로 임관했다. 손 소위의 증조부인 손기업(1905∼1985)은 일제강점기 조선혁명당총동맹을 조직해 친일파를 처단한 공로로 건국훈장을 받은 독립유공자다.

또 3·1만세 운동을 주도하다 일경에 체포돼 옥고를 치른 독립운동가 김교선(1892∼1969)의 외증손인 김태순 소위(25)도 눈길을 끌었다. 김 소위의 할아버지는 6·25전쟁 참전용사로, 아버지는 육군 군의관으로 각각 복무했다.

윤상호 군사전문기자 ysh1005@donga.com
#공군#임관식#140기 공군 학사사관후보생 임관식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21

추천 많은 댓글

  • 2018-06-02 05:28:49

    최소위가 있어 대한민국은 행복합니다. 이 엄혹한 주사옥사 남조선시대에 언젠가 대한민국이 대한민국이길 기대합니다.

  • 2018-06-02 05:27:03

    남쪽에서는 主思獄事와 사회주의 건설로 날내우고 세계적으로는 김정은 체제지키기에 목메달며 북동포의 인권과 빵엔 함구하고 남으로 대한민국 70년을 남로당의 잣대로 재단하며 피튀기는 옥사를 벌이는 주사파정부에게 곧 천벌이라는 철퇴가 내려질 것이다. 花無十日紅은 까맣게 잊었지

  • 2018-06-02 11:30:25

    충정은 가상타만 문제인과 림종석 치하에서 조국을 어느나라로 부터 지키겠다는건가?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