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 무령왕릉과 유사한 형태의 벽돌무덤(전축분·塼築墳)이 충남 공주에서 또다시 모습을 드러냈다.
공주시와 공주대박물관은 충남 공주시 교촌리 일대에서 지난달부터 진행한 발굴조사에서 공주 송산리 고분군(사적 제13호) 내 무령왕릉이나 6호분과 유사한 웅진 도읍기(475~538) 백제시대의 벽돌무덤을 확인했다고 7일 밝혔다. 교촌리 고분군은 일제강점기인 1939년 사이토 다다시(齊藤忠)와 가루베 지온(輕部慈恩)이 발굴조사를 진행했지만 당시 기록이 제대로 남아 있지 않아 80여 년간 구체적인 위치를 알 수 없었다.
이번에 발견된 벽돌무덤은 무령왕릉처럼 터널형의 구조를 갖춘 것으로 조사됐다. 무덤구덩이(묘광·墓壙)는 가로세로 3X6.1m에 높이 2m이며, 묘실은 가로세로 1.9mX3.4m에 높이 1.6m다. 그러나 연꽃무늬 벽돌을 사용하고 가로-세로 쌓기를 반복한 무령왕릉과 달리, 교촌리 무덤의 벽돌에선 무늬가 없고 가로로 쌓아서 만든 차이점을 보였다.
박물관 관계자는 “이 무덤이 무령왕릉 축조를 위해 연습용으로 만든 미완성 무덤인지, 무령왕릉 이전에 조성한 왕릉 급 무덤인지는 추가 연구를 통해 확인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교촌리 고분군에서 150m 떨어진 거리에 있는 교촌봉 정상에서는 석축 단 시설이 확인됐다. 이곳에선 무령왕릉에서 나온 연꽃무늬 벽돌이 출토돼 백제의 중요 시설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