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의 인구는 1995년을 기점으로 줄어들기 시작해 최근에는 인구절벽 수준으로 감소하고 있다. 지난해 연말 기준 주민등록인구는 347만653명으로 2016년보다 2만7876명이 줄었다.
이렇게 된 데에는 단순히 저출산 고령화로 인한 인구구조 변화뿐 아니라 일자리 부족, 청년실업률 증가, 높은 주거비, 고령화, 저출산 등 다양한 사회적 요인이 영향을 미쳤다.
이에 부산시는 인구감소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도시 관리의 틀을 바꿔야 했고, 그 해법으로 콤팩트 시티를 마련했다.
콤팩트 시티는 역세권 등 도심을 개발해 도시 기능을 집중시키고 시민들이 걷거나 대중교통을 타고 편리하게 활동할 수 있는 도시다. 특히 지속적인 도시재생이 이루어져 직장과 주거생활이 연결된 시민 위주의 도시를 일컫는다.
부산시는 하루아침에 콤팩트 시티로 탈바꿈하기가 어려운 점을 감안해 멀리 내다보고 인구감소와 고령화, 도시 쇠퇴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하고 있다.
먼저 인구감소로 더 이상의 도시 확장은 필요하지 않다는 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도심의 건물을 내버려두고 굳이 멀리 있는 외곽에 주거지를 지을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시에서 시행하고 있는 드림아파트, 행복주택 등 ‘역세권 청년주택’ 건설이 대표적인 사업이다. 신혼부부, 대학생 등 다양한 사회초년생의 주거안정을 위해 역세권에 공공임대주택을 건설해 주변 시세보다 저렴하게 공급하는 시책이다. 신혼부부나 다자녀가구가 안정적으로 애를 낳고 키우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 저출산을 극복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사회초년생들에겐 주거비 부담을 덜어주어 조기에 자립할 기반을 마련해 준다. 또 사업성만 좇아 무분별하게 추진하던 고지대 개발을 억제하고 남는 공간을 녹지공간으로 활용하고 있다.
콤팩트 시티는 새로운 건축물을 신축해 도심을 형성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 도심의 주택이나 건축물을 다양한 방법으로 재생하고 마을 단위의 공동체를 중심으로 주민 스스로가 노후한 시설물을 재정비한다. 이런 정책을 통해 주민 모두가 행복한 도시, 희망이 가득 찬 도시로 만들어 가는 것이 부산시의 목표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