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에서 농부는 ‘농업을 업으로 삼는 사람’이라고 하지만 농부(農夫)의 한자를 풀이하면 ‘별(辰)을 노래하는(曲) 사람’이라는 뜻이 된다. 별을 노래하는 사람이 농부라니 아름다운 풀이다. 그렇지만 사실이다. 농부는 땅 속의 아주 작은 미생물부터 하늘의 신호까지도 알아내는 사람이다. 그냥 괭이 들고 나가서 땅 파는 사람이 아니라는 말이다.
우리에게 동네 어르신 사과밭이 넘어온 날은 겨울이었다. 잎이 없어 땅과 나무의 상태를 살피기에 좋았다. 늙거나 어린 나무, 병들거나 비틀린 나무, 죽어가거나 죽어버린 나무…. 대부분 상태가 좋지 않았다. 땅도 사막화되어가고 있었다. 그래도 좋은 것이 있다면 햇빛이었다.
“소똥 두 양동이가 꼭 필요해.”
농부 레돔은 가장 먼저 소똥 증폭제가 필요하다고 처방을 내렸다. 나 어린 시절에는 골목길에 소똥이 수두룩했다. 소들은 아침에 나갈 때 똥을 쌌고 종일 꼴을 뜯은 뒤 저녁에 돌아올 때도 똥을 쌌다. 그 많던 소똥들은 다 어디로 가버렸는지. 그런데 사람 똥이나 개 똥, 닭 똥, 돼지 똥, 이 많은 똥 중에 왜 꼭 소똥이어야 하는 걸까?
“사람은 섭취한 음식을 거의 다 흡수해버리기 때문에 똥으로 나왔을 때 별로 써먹을 양분이 없어. 닭이나 돼지 똥은 질소가 너무 많이 함유되어 있어서 토양을 오염시켜. 소똥이 좋은 건 풀만 먹기 때문이지. 무엇보다 되새김질을 통해서 음식물이 길고긴 소의 장을 통과하는 동안 건강한 미생물들이 생성된단 말이야. 균형 잡힌 최고의 영양 똥이라고 할 수 있어.”
나는 농부의 말의 말에 감복되어 소똥 찾아 삼만리를 시작했다. “혹시 소똥 구할 데 있을까요? 아니, 그냥 소똥은 안 되고 유기농 풀을 먹고 자란 소의 똥이 필요해요.” “소똥은 어데 쓰려고?” “증폭제 만드는데 쓰려고요.” “증폭제는 또 뭐꼬?” “생명역동농법에서 땅의 기운을 살리는데 필요한 약재를 만들려고 하는데요.” “야가 무슨 씨나락 까묵는 소리를 해샀노.” 소똥 구하기는 우여곡절이 많았지만 평화나무 농장을 알게 되면서 해결되었다. 놀랍게도 그곳 두 분은 우리와 같은 농업 방식인 생명역동농법으로 농사를 짓고 계셨다.
“그런데 소똥 얻는 거 그렇게 쉬운 일 아니에요. 소들이 똥을 누면 밟고 다녀 바닥에 깔린 짚이랑 섞여 버리거든요. 우리 남편이 양동이를 들고 소 궁둥이를 따라다녀야 해요. 똥을 누면 잽싸게 양동이에 퍼 담아야 하거든요.”
얼굴도 모르는 웬 여자가 소똥 달라고 매달리니 농장 안주인은 이렇게 말했다. 그래도 좀 주시면 안 될까요? 죄송하지만 좀 주세요! 이렇게 해서 평화농장과의 인연이 시작되었다. 농사를 짓는데도 동지가 필요하다. ‘생명역동농법’ 하면 사람들은 ‘생… 뭐, 뭐라고?’ 하는 표정이 된다.
우주의 수많은 별들이 우루루 쏟아지지 않고 조화롭게 돌아가는 것은 서로가 강하게 밀고 당기는 힘 때문이라고 한다. 달을 따라 바닷물이 움직이고 해를 따라 꽃이 움직인다. 인간은 잘 느끼지 못하지만 식물은 인간보다 더 예민하게 우주 행성의 움직임에 반응한다고 한다. 이렇게 별의 움직임에 따라 각기 식물들이 다르게 영향 받는다는 사실을 근거로 만든 별자리 달력에 따라 농사를 짓는 것이 생명역동농법이다.
“이 농법이 모든 것을 설명할 수는 없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농부가 농작물만 키우는 것이 아니라 땅도 키운다는 것이지.”
어찌되었거나 밤하늘의 별을 봐서 나쁠 건 없다. 소똥도 구했으니 이제 하늘의 별이나 헤야겠다. 별 하나에 지렁이, 별 하나에 사과, 별 하나에 포도, 별 하나에 소똥… 별 하나에 아름다운 말 하나씩 부르며 모든 죽어가는 것들을 사랑하는 이는 시인뿐만 아니라 농부도 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