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위산업 육성으로 창원경제 활로 뚫는다

  • 동아일보
  • 입력 2018년 7월 24일 03시 00분


“방위산업을 신성장 동력 삼겠다”… 허성무 창원시장 중요성 역설
항공부품 클러스터 등 청사진 제시… 방위산업진흥원 유치 계획도

허성무 경남 창원시장(오른쪽에서 세 번째)이 최근 열린 ‘기동화력장비 전력발전 포럼’에 참석해 전시장을 둘러보며 국방기술품질원 및 군 관계자들과 대화하고 있다. 창원시 제공
허성무 경남 창원시장(오른쪽에서 세 번째)이 최근 열린 ‘기동화력장비 전력발전 포럼’에 참석해 전시장을 둘러보며 국방기술품질원 및 군 관계자들과 대화하고 있다. 창원시 제공
‘왕복 8차로, 길이 15km의 직선 창원대로는 전시(戰時)에 비행기 이착륙을 위한 임시 활주로로 사용한다.’ ‘창원공단 조성과 방위산업체 입주는 분지(盆地)여서 레이더에 잘 잡히지 않는 여건을 감안해 박정희 전 대통령이 구상한 것이다.’

경남 창원시의 공단 조성, 방위산업체 입주, 박 전 대통령 이야기는 다양하게 전해진다. 그만큼 방산(防産)은 창원, 특히 창원국가산업단지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허성무 창원시장(55)은 23일 “전통적인 기계산업과 함께 첨단 방위산업을 신성장 동력으로 육성해 시민의 일자리를 창출하겠다”고 강조했다. 허 시장은 기회 있을 때마다 방위산업의 중요성을 역설한다. 그는 “조선산업과 기계산업의 침체가 지속될 가능성이 있다. 방위산업을 지역경제 활성화를 견인할 대표산업으로 선정하고 민·관·군 협력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창원대 종합교육관에서 열린 ‘2018 기동화력장비 전력발전 포럼’에서는 창원지역 방위산업의 청사진도 제시했다. 포럼에는 경남도, 방위사업청, 육군교육사령부, 한국산업단지공단 경남본부, 창원지역 방산기업과 방위산업 클러스터 회원사 등 500여 명이 참석했다. 허 시장은 포럼에서 방위산업진흥원 유치, 민군함정 기술특화센터 건립, 항공부품 클러스터 조성, 방위산업 인재육성 지원, 청년친화형 첨단산업단지 조성 등을 소개하고 ‘방위산업 활성화 계획’을 수립하겠다고 밝혔다.

방위사업청이 방위산업진흥원을 산하 조직으로 신설한다면 창원에 유치한다는 구상이다. 200여 명의 연구원이 상주하며 방산 기술을 연구하는 기관이다. 정현섭 창원시 미래산업과장은 “민군함정 기술특화센터는 기존 조선업체들이 군용 선박 사업을 도입하거나 일부 전환하는 과정에서 적극적인 지원을 하게 될 것이다. 국내외 정세와 무관하게 방산을 수출사업으로 육성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창원에는 전국 국가지정 방산업체 94개사 가운데 20개사가 위치하고 있다. 한화디펜스, 두산인프라코어, 효성, STX조선해양 등이다. 지정 방산업체와 연계한 중소 부품업체만도 200여 개에 이른다. 경남의 방위산업 매출액은 연간 9조2000억 원으로 전국 방위산업 매출액의 65%를 차지한다.

관련 기관과 학교도 많다. 육군종합정비창, 해군군수사령부, 국방기술품질원 창원기동화력센터, 경남국방벤처센터, 사천항공센터, 국방과학연구소 창원시험장·진해해상시험장, 기업부설 연구소 등 방산 인프라가 탄탄하다. 경남대 방산기계공학전공, 창원문성대 특수군사학부, 마산대 해군부사관학부도 있다.

민간네트워크로는 창원국가산단 방산클러스터, 경남방위산업정책포럼, 방산부품 지식연구회가 활동 중이다. 방위산업 연구기반 시설과 전문 인력을 많이 보유한 방산 집적도시인 셈이다. 그러나 방위산업의 특수성과 기술사업화의 어려움에다 제작 및 납품 과정의 투명성 문제마저 제기되면서 그동안 활성화에 어려움이 따랐다. 김응규 창원시 경제국장은 “지역의 방산기업들이 첨단 기술로 무장하고 글로벌 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지원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강정훈 기자 manman@donga.com
#방위산업#경제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