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미 장관 개발 제동따라… 市 “부동산시장 고려… 국토부와 협의”
이르면 8월 공개될 예정이었던 서울시의 여의도 일대 개발계획 발표가 늦춰질 것으로 보인다.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이 23일 서울시의 여의도·용산 일대 개발에 제동을 걸자 일단 주춤하는 모양새다.
서울시 관계자는 24일 여의도 마스터플랜 발표 시기에 대해 “시장 상황에 대한 중앙정부의 생각과 판단도 고려하면서 협의해 나갈 것”이라며 “구체적인 시기에 대해선 언급하기 어려우며 다음 달보다는 조금 늦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시 역시 부동산 상황을 주시하며 시기를 조율하던 상황에서 이야기가 나와 당혹스럽다”며 “부동산 시장에 대해 시와 정부는 생각을 같이 해왔다”고 덧붙였다.
서울시는 여의도 일대 개발계획은 도시계획이어서 부동산 시장 상황을 제외하고는 국토부와 협의할 사안은 아니었다고 밝혔다. 또 서울역·용산역 개발계획은 국가시설인 철도역이 포함돼 있어 국토부와 이미 상의해 왔다고 설명했다.
당초 서울시는 이르면 다음 달 또는 9월에 ‘여의도 마스터플랜’을 발표할 예정이었다. 18일 시 도시계획위원회에 초안을 보고한 뒤 보완 작업을 해오고 있었다는 것이다.
앞서 23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에 참석한 김 장관은 “서울시의 여의도·용산 개발계획 발표 이후 이 지역의 부동산 가격 상승세가 두드러지고 있다”며 “여의도 통합 개발은 도시계획적인 측면도 있지만 정비사업적으로 고려할 것이 많아 종합적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도시계획은 시장이 발표할 수 있지만 실질적으로 진행되려면 국토부와 긴밀한 협의가 이뤄져야 실현 가능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또 용산역 주변 개발에 대해서도 “철도시설은 국가 소유라서 중앙정부와 협의해서 함께하지 않으면 현실성이 없다”고 말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10일 리콴유세계도시상을 받기 위해 싱가포르를 방문해 “여의도를 통으로 개발할 것”이라며 “아파트 재건축이 진행 중인 여의도를 새로운 신도시에 버금가게 만들 수 있는 여의도 마스터플랜을 고민하겠다”고 말했다. 박 시장은 또 “용산부터 서울역까지 철도 구간을 지하화해 그 위에 MICE 단지, 쇼핑센터 등이 들어오게 만들 것”이라고 밝혔다.
김예윤 기자 yeah@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