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님 좋아하는 간식까지 의전?… 심하지 않나요

  • 동아일보
  • 입력 2018년 9월 10일 03시 00분


코멘트

[새로 쓰는 우리 예절 新禮記(예기)]<29>한국식 과잉 의전은 이제 그만

■ 일 못하는 것보다 의전 안챙기면 용서 못한다네요

‘이동 시엔 귀빈으로부터 좌전방 1보 거리를 유지한다. 시선은 귀빈의 표정과 진행 방향을 볼 수 있는 45도를 향한다. 이어지는 테이프 절단식에 앞서 흰 장갑을 전달할 때는 오른쪽 장갑이 위로 올라가도록 한 뒤 손목 부분이 보이게 전달한다….’

이벤트 전문회사에 입사한 첫날, 부장님은 제게 ‘행사 의전 기본 매뉴얼’이라고 적힌 책 한 권을 건네셨습니다. 장편소설 한 권 분량의 이 문서에는 ‘귀빈’의 서열 판단 기준부터 안내 방식, 자리 배치는 물론이고 꽃장식의 방향까지 적혀 있더군요.

“요즘 이런 걸 따지는 사람이 누가 있어요? 이 매뉴얼을 꼭 따라야 해요?” 부장님께 ‘유연한 의전’을 건의하자 바로 불호령이 떨어졌어요. “자네 미국 사람이야? 한국에서 이런 걸 지키지 않으면 일감 끊기는 건 시간문제라고!”

다른 회사에 다니는 친구에게 고충을 토로하자 웬걸, 친구조차 부장님 편을 들더군요. 자기 회사에서도 ‘일 못하는 놈은 용서해도 의전 안 챙기는 놈은 용서받지 못한다’면서요. 이런 과도한 의전도 예절의 일부인 건가요?
 
■ 배보다 배꼽이 큰 인력과 비용 낭비… 이젠 바뀌어야

대학원 졸업생 박지훈(가명·32) 씨는 일찍이 20대에 ‘의전의 달인’이 됐다. 연구실 조교 생활을 하며 ‘교수님 의전 매뉴얼’을 완벽히 익혔기 때문이다. 박 씨는 “한국의 대학원생에게 연구보다 중요한 게 교수님을 잘 모시는 것”이라며 “교수님이나 그 가족들 공항에서 태워오기, 자녀 숙제 돕기, 교수님이 좋아하는 간식 준비하기 등은 기본”이라고 말했다.

국내 유명 대기업에 다니는 김모 씨(38)는 입사 당시 받은 충격을 잊지 못한다. 선배들이 전설처럼 전해 내려오는 일명 ‘손가락 주걱 신화’를 들려주며 의전의 중요성을 거듭 강조했기 때문이다. 손가락 주걱 신화란 윗사람이 구둣주걱을 찾는데 보이지 않자 자신의 손가락을 상사의 구두 속에 넣은 직원이 훗날 임원으로 승승장구했다는 이야기다. 김 씨는 “이런 얘기가 어처구니없었지만 현실이 더하면 더했지 덜하지 않은 게 더 충격적이었다”고 했다.

해외 주재원들의 업무는 ‘절반이 의전’이라는 말도 있다. 유럽 지역 주재원이었던 박모 씨(32)는 “입맛이 까다로운 임원의 방문을 앞두고 한 끼 식사를 위해 식당 3곳을 동시에 예약한 적이 있다”며 “예약을 취소하면 페널티가 있어 나머지 두 식당에는 직원들이 갔다. 의전을 위해 낭비되는 비용이 너무 크다”고 말했다. 프랑스 파리의 에펠탑을 보며 조깅을 하고 싶다는 한 대기업 부사장을 위해 현지 직원이 호텔 객실에 트레드밀(러닝머신)을 설치했다는 일화는 주재원 세계의 전설로 통한다.

과잉 의전이 여전히 극성을 부리는 곳은 정계와 관가다. A국회의원실에서 일하는 강주희(가명) 씨는 황당한 의전 경험을 숱하게 겪었다. 최근 중요한 현안을 두고 전문가 토론을 열었는데, 토론이 한창일 때 한 국회의원이 지각 입장을 했다. 그러자 사회자는 “귀한 발걸음 해주신 의원님의 인사말을 듣고 다시 토론을 이어 가겠다”며 토론을 중간에 싹둑 잘라 먹었다.

그렇게 식순을 비집고 들어온 의원은 축사를 한 뒤 10분 남짓 자리에 앉아 있다가 행사장을 빠져나갔다. 행사장 밖에선 의원이 오기를 기다리며 오랫동안 잡아둔 승강기에서 계속 ‘삑삑’ 소리가 울렸다. 강 씨는 “VIP 간에도 서열이 있어 상급자가 하급자보다 행사장에 먼저 도착하면 위신이 서지 않는다고 생각한다”며 “제일 마지막에 등장하기 위해 차를 타고 행사장 주위를 빙빙 돌기도 한다”고 말했다.

이런 문화로 행사의 주객이 전도되는 일은 흔하다. 매년 열리는 한 시상식을 기획하는 최모 씨는 “시상식의 주인공은 수상자들이어야 하는데, 행사 때마다 가장 힘이 드는 건 ‘내빈 의전’”이라며 “초청 순간부터 주차장에서 행사장까지 동선이나 내빈 호명 순서 등을 묻는 VIP 비서들의 전화에 응대하느라 다른 업무를 하지 못할 정도”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우리 사회 전반에 뿌리 내린 과잉 의전 문화가 조직에는 물론이고 의전을 받는 당사자들에게도 ‘독’이 된다고 지적했다. 본인도 모르게 타인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 ‘갑질 인사’로 전락할 수 있어서다. 과잉 의전을 받다 은퇴하면 적응에 어려움을 호소하기도 한다. 오랫동안 고위직을 지낸 이모 씨는 “퇴직하고 나니 내 비행기표 한 장 예매하기도 힘들더라”고 말했다.

‘의전의 민낯’이란 책을 쓴 허의도 전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사무총장은 “아랫사람이 먼저 과잉 의전을 없애기 힘든 만큼 윗사람이 먼저 폐단임을 인식하고 달라져야 한다”고 조언했다. 올해 일부 지방자치단체는 ‘내빈 축사 및 소개 생략’ ‘자율배석제’ 등을 통해 행사에 필요한 의전을 최소화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기업들도 임원 의전을 줄이는 추세다. 해외출장이 잦은 회사로 이직한 장기원(가명·34) 씨는 “전 직장과 달리 ‘임원 동행 출장 시 각자 체크인 뒤 현지 공항에서 만남’이란 문구를 명문화해 놓은 것을 보고 놀랐다”며 “짐 옮기기, 체크인, 면세점 쇼핑 보조 등 업무와 상관없는 의전이 줄다 보니 업무에 더 집중할 수 있다”고 말했다.

황태호 taeho@donga.com·김수연 기자
 
○ 당신이 제안하는 이 시대의 ‘신예기’는 무엇인가요. ‘newmanner@donga.com’이나 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이 느낀 불합리한 예법을 제보해 주세요. 카카오톡에서는 상단의 돋보기 표시를 클릭한 뒤 ‘동아일보’를 검색, 친구 추가하면 일대일 채팅창을 통해 제보할 수 있습니다.
#한국식 과잉 의전#교수님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