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동아일보
오피니언
정치
경제
국제
사회
문화
연예
스포츠
헬스동아
트렌드뉴스
통합검색
언어선택
방문하고자 하는 언어의 홈페이지를 선택하세요.
한국어
English
中文(簡体)
日本語
마이페이지
전체메뉴 펼치기
사회
고시원 화재 갈수록 증가…목재 가구에 초밀집 구조 ‘취약’
뉴시스
업데이트
2018-11-09 16:47
2018년 11월 9일 16시 47분
입력
2018-11-09 16:45
2018년 11월 9일 16시 45분
코멘트
개
좋아요
개
공유하기
공유하기
SNS
퍼가기
카카오톡으로 공유하기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트위터로 공유하기
URL 복사
창 닫기
즐겨찾기
읽기모드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가
가
가
가
가
창 닫기
코멘트
개
뉴스듣기
프린트
9일 발생한 서울 종로구 고시원 참사에 따라 해마다 수시로 반복되는 고시원 화재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소방청의 5개년 다중이용업소 화재발생현황 자료에 따르면 고시원에서 발생한 화재는 2012년부터 2016년까지 35건, 43건, 48건, 52건, 74건으로 꾸준한 증가세를 보였다.
지난해 한풀 꺾여 47건이었으나 올해는 이날까지 다중이용업소에서 발생한 화재 486건 중 고시원에서 불이 난 횟수만 46건에 이른다. 10%에 달하는 수치다.
원인으로는 부주의가 26건으로 가장 많았고, 전기적 요소 10건, 방화 4건, 기계적 요소 3건 등이 뒤를 이었다.
실제로 지난달 22일 일산의 한 고시원에서 불이 났고, 같은 달 13일 부산의 한 고시원에서도 화재가 발생해 10명이 대피하고 1명이 다쳤다.
지난 6월 발생한 부산 고시원 화재 때는 거주자 20여명이 대피하는 아찔한 상황이 연출됐고 앞서 2월 파주의 고시원에서 난 불로 1명이 다치기도 했다
고시원은 1명이 겨우 들어가는 좁은 방과 복도로 구성돼 불이 나면 빠르게 번져 대형 화재 사건이 될 위험이 크다. 보증금이 없는 경우가 많고 월세가 싼 탓에 가구도 화재에 취약한 재질을 쓰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번 화재가 발생한 종로구 고시원 역시 U자형 복도를 가운데에 두고 양쪽에 방이 다닥다닥 붙어 있는 구조로 파악됐다. 설립 35년이 된 연면적 614.3㎡짜리 건물이다.
2층 24개방, 3층 29개방, 옥탑 1개방 등으로 50명이 넘는 사람들이 집단 거주하는 구조임에도 각 층마다 출입구는 하나 뿐이다. 책상과 침대로 단출한 방 안의 가구는 나무 재질로 알려졌다.
이 같은 조건으로 이번처럼 출입구 쪽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사실상 대피가 불가능한 상황이 돼 버린다. 경찰에 따르면 이날 불은 A씨(72)가 거주하던 301호 전열기에서 시작됐다. 이 방은 출입구 앞 3층 복도가 시작되는 지점에 있다.
이 고시원 건물에는 스프링클러도 설치돼 있지 않았다.
간이스프링클러 등 소방시설 설치가 의무화 된 게 2009년 7월인데, 이 고시원은 2007년에 등록돼 대상에서 빠진 것이다.
소방당국에 따르면 이날 오전 5시께 발생한 화재로 7명이 숨지고 11명이 화상 등 부상을 입었다. 불은 소방대원 173명과 경찰 40명 등 총 236명이 투입돼 오전 7시께 완전히 꺼졌다.
정확한 화재 원인과 비상벨 작동 여부 등은 경찰, 소방당국, 전기·가스 등 유관기관이 합동감식을 벌이는 10일 발표될 예정이다.
【서울=뉴시스】
좋아요
0
개
슬퍼요
0
개
화나요
0
개
추천해요
개
댓글
0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등록
지금 뜨는 뉴스
“대통령을 뽑았더니 영부남?” 활동 중단 김 여사의 향후 행보는? [황형준의 법정모독]
“신경외과 의료진 없다” 환자 거부…법원 “보조금 중단 정당”
서울시 첫 새벽 자율주행버스 ‘A160’ 26일부터 달린다
닫기
댓글
0
뒤로가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