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행 ‘확정급여(DB)’ 방식은 수령액을 고정시키고 보험료율을 올려 재정을 맞춘다. 낸 것보다 더 받게 설계됐지만 지속 가능성이 낮다. 반면 NDC 방식은 보험료를 그대로 두되 수령액을 조정해 재정을 유지하는 것이다. 경제성장률이 낮거나 기대여명(연금을 받기 시작한 나이부터 앞으로 더 살 수 있는 기간)이 길어지면 수령액을 줄이는 방식이다. 스웨덴 등이 채택했다. 이는 2057∼2063년 기금 고갈을 전제로 한 정부의 네 가지 개편안에 대한 보완책이다. 하지만 보험료를 올리지 않은 채로 NDC 방식을 도입하면 미래 세대의 수령액이 줄어 노후 보장이 어려워진다는 점에서 논란이 클 것으로 보인다. 양재진 연세대 행정학과 교수는 “스웨덴이 NDC 방식을 도입했을 때 보험료율이 18.5%였다”며 “그 절반밖에 안 되는 국내 보험료율(9%)을 대폭 올리는 조치 없이 NDC를 도입하면 부작용이 너무 커진다”고 지적했다.
조건희 기자 becom@donga.com
댓글 20
추천 많은 댓글
2018-12-17 03:35:05
문재인 민주화를 사기처 민주화를 망친 멍청한 시기들 이건희 회장이 김영삼 정권때기업은2류 정치는 3류라고 바른소리를 했다가 혼줄이낫는대 문재인정치 수준은 10류가넘는다 문재인정치는 경재를 망치는 법을 만드러 국가부도 상태인대 연금이 고무줄이냐 생각하는게 새 대가리.
2018-12-17 05:53:54
어느 나라고 그 나라 정부는 그 나라 국민수준에 맞춰서 태어난다. 국민이 표를 줘서 만든 정부의 온갖 오물은 국민이 다 뒤집어 쓴다. 정권은 유한하고 국민은 무한하다. 피해자는 늘 국민이다.
2018-12-17 05:55:06
문재인과 좌익일당이 국민연금을 빼돌려 먹고는 이제 다양한 방법으로 국민을 속이고 있는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