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리 노력해도 안된다는 박탈감”… 공정-기회-역전 꿈꾼다

  • 동아일보
  • 입력 2018년 12월 31일 03시 00분


코멘트

[청년드림 20대의 2018 한해]20대 100명 응답속 공통 키워드

동아일보가 인터뷰한 20대 100명의 응답에는 ‘공정’ ‘기회’ ‘역전’ 등의 키워드가 공통적으로 깔려 있다. 이들은 서울교통공사 고용 세습, 숙명여고 시험지 유출 등의 뉴스를 접하며 일부 계층이 반칙으로 기회를 독식하는 세태에 대해 강한 불만을 토로했다. 가뜩이나 취업이 안 돼 불안하고, 부모에게 신세 지는 것이 미안한 청년들은 자신의 미래가 불공정한 경쟁에 의해 좌우될 수 있다는 것에 분노했다. 일부는 신분 상승의 사다리가 봉쇄된 현실에 체념했고, 비트코인 급등 소식에 관심을 가지며 계층 역전을 꿈꾸기도 했다.

○ “취업 힘들고 집값은 너무 비싸” 불안한 20대

양질의 일자리 부족과 집값 상승은 20대의 삶을 불안하고 초조하게 만든 가장 큰 원인으로 꼽혔다. 직업을 구하지 못해 부모에게 손을 벌려야 하는 현실에서 부채의식이 커졌다. 취업준비생 한세인 씨(25·여)는 “대학을 졸업하면 취직을 해야 한다는 강박이 심한데 취직 자체가 너무 힘든 상황”이라고 말했다. 권대환 씨(23)는 “은퇴를 앞둔 부모님이 노후 투자도 하셔야 되는데 집에 돈이 부족한 시기”라며 “취업 준비를 시작해서 아르바이트를 그만두고 부모님에게 돈을 받아서 생활하는데 눈치가 보인다”고 토로했다.

어렵게 취직을 하더라도 집값이 비싸 경제적으로 독립하기 어렵다 보니 미래가 불안하다. 오승은 씨(25·여)는 “주거환경이 불안하니 모든 것에서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며 “친구들을 만나면 ‘여긴 얼마야’와 같은 질문을 수시로 하게 된다”고 말했다. 홍수인 씨(22·여)는 “집을 살 수 있을 만큼 여유 있는 집안에서 태어나지 않은 사람은 아무리 노력해도 안 된다는 것에 대한 박탈감이 크다”며 “주위에서는 ‘회사 근처에 사는 게 꿈인데 집값이 싼 지역에 회사가 있으면 좋겠다’고 토로하기도 한다”고 전했다.

○ 반복되는 채용비리 뉴스에 ‘분노’

더 나은 미래에 대한 압박 속에서 20대는 금융권 채용비리, 서울교통공사의 고용 세습 등 반칙을 통해 부당한 이득을 취하는 것에 민감하게 반응했다. 채용비리의 피해 당사자인 만큼 반칙을 목격했을 때의 반응이 기성세대에 비해 클 수밖에 없다. 취업준비생 이준호 씨(25)는 “시험에서 떨어질 때마다 ‘나도 혹시 채용비리 피해자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며 “지원서를 내기 전 해당 회사가 채용비리로 조사를 받았는지부터 살펴보고 있다”고 말했다. 지방에서 취업을 준비하는 금동한 씨(25)는 “기업별 지원자들 채팅방에는 ‘내정자가 있다’는 이야기가 많이 나온다”며 “내가 떨어진 게 불공정한 경쟁 때문이 아닌가 의문이 든다”고 말했다.

이러한 경험은 자연스럽게 자괴감과 분노로 이어졌다. 취업준비생 서민준 씨(25)는 “나는 매일 아침부터 독서실에 가서 악바리처럼 준비하는데도 지원한 30곳 중 서류라도 합격한 게 6곳뿐이었다”며 “실력은 안 되는데 ‘빽’으로 들어가는 사람을 보면서 ‘열심히 해봤자 나는 안 되는구나’라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취업준비생 김세림 씨(25·여)는 “인맥으로 신입사원을 뽑고, 경력도 능력도 없는 사람이 준비를 많이 한 사람을 제치는 걸 보면 분노가 치밀어 오른다”고 했다.

20대가 숙명여고 시험지 유출 사건을 주요 뉴스로 뽑은 배경도 비슷했다. 공정성의 마지막 보루가 돼야 할 학교에서마저 비리가 있었다는 실망감이 컸다. 유하영 씨(20·여)는 “성적을 한 단계 올리는 건 정말 힘든데 아무 노력 없이 쉽게 점수를 올린 것이 괘씸하다”고 말했다.

○ “사다리 사라진 新계급사회”

20대들은 취업난과 채용비리 문제를 동시에 접하면서 한국 사회에서 계층 이동 가능성이 매우 낮아졌다고 판단했다. 아무리 노력하고, 인내해도 자신의 사회적 지위가 크게 달라지지 않을 것이라는 체념이 깔려 있다. 이들에게 우리나라는 ‘신(新)계급사회’, ‘세습사회’, ‘역전 불가능한 사회’였다. 취업준비생 김성희 씨(27·여)는 “위로 올라갈 사다리가 사라진 사회”라며 “채용비리 뉴스를 보면 노력을 해도 안 되는 부분이 많다는 생각이 든다”고 토로했다. 지혜원 씨(23·여)는 “대입 재수를 할 때 보니 잘사는 집 애들은 몇백만 원씩 주고 과외를 받았다”고 말했다.

○ ‘공정성’ 앞세워 변화 모색하기도

20대들은 현실이 답답하다 보니 비트코인에서 탈출구를 찾아보려는 사람이 적지 않았다고 전했다. 취업준비생 석경민 씨(25)는 “현실에서는 내가 벌 수 있는 돈에 한계가 있는데 비트코인은 ‘존버(계속 버티면)하면 기대 이상의 수익을 얻을 것’이라는 기대가 있다”며 “어차피 현실에서 노력해 봤자 이만큼 못 버니까 마지막으로 기대를 걸어보는 것”이라고 해석했다.

다만 20대가 현실에 순응만 하는 것은 아니었다. 윤창호 씨의 친구들은 음주운전 사고 처벌을 강화하는 법 제정을 이끌어 냈다. ‘공정성’이라는 가치를 앞세워 현실을 조금이나마 개선하기 위한 노력들도 나타났다. 아이스하키 남북 단일팀 논란에서 가장 크게 목소리를 낸 것도, 혜화역 시위에 적극 참여한 것도 20대들이었다.

윤상철 한신대 사회학과 교수는 “20대가 공정성을 중시하는 건 건강하다는 증거”라며 “모두가 다 금수저나 은수저가 아니고 현실이 바뀌기 어렵다는 걸 알지만 올 한 해 공정성이라는 가치를 내세우며 무언가 바뀌었으면 하는 기대를 담아냈다”고 말했다.

윤다빈 empty@donga.com·김은지·공태현·박상준 기자

※본보의 ‘전국 20대 100명 심층 인터뷰’는 강동웅 공태현 김소영 남건우 박상준 박선영 신아형 여현교 염정원 이소연 최수연 기자가 진행했습니다.
#노력해도 안된다는 박탈감#공정-기회-역전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