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까똑까똑’… 올해도 스팸문자 같은 새해인사가 도착했습니다

  • 동아일보
  • 입력 2019년 1월 29일 03시 00분


[새로 쓰는 우리 예절 新禮記(예기) 2019]<2> 모바일 명절인사 에티켓
호칭도 없이 메시지 복사해 붙이고 서로 모르는 사람 단톡방 초대 당황
이름만 불러도 친근한 느낌 생겨… 이번 설엔 정성 담긴 감동 문자를


《1월 1일 아침. ‘까똑’ 소리와 함께 제게 날아온 메시지를 보고 경악했던 일을 잊을 수가 없습니다. ‘새해 첫날부터 별 기분 나쁜 스팸을 다 보네’라고 생각했는데…. 웬걸, 저보다 높은 연배의 거래처 직원 분이 보내셨더군요. 이어지는 카톡에는 “올 한 해 우리의 ‘성’공과 ‘행’복을 ‘위’하여!”라는 해석이 붙어 있었지만 하나도 재밌지 않았어요. 메시지의 첫 글자가 ‘성! 행! 위!’였습니다. 인터넷 어디선가 내려받아 붙인 듯한 그림 파일, 건배사 같은 새해 덕담에 씁쓸함만 커지더라고요. 저는 20대라 그래도 이런 ‘문제적 연하장’만 아니면 모바일로 연하장 보내는 걸 이해하는 편이에요. 그런데 어르신 중에는 모바일 연하장 자체를 불쾌해하는 분도 많더군요. 저희 아버지는 “받는 사람 이름 하나도 없이 어디서 긁어 보내는 이런 걸 왜 보내는지 모르겠다”며 “마음도 없이 일출 동영상 같은 거 보낼 바에야 인사 안 하는 게 낫다”고 쓴소리를 하시더라고요.》

회사원 박용진(가명·30) 씨는 지난해 설 연휴에 황당한 경험을 했다. 알 수 없는 수십 명의 사람들로 가득 찬 카톡방에 갑자기 초대된 것이다. 초대자는 고모였다. 고모는 “새해에는 모두들 건강하시고 은혜가 가득하시길 기도한다”고 말했지만 답을 남기는 이는 한둘에 불과했다. 대부분 말없이 방을 빠져나갔다. 박 씨는 “나중에 고모에게 ‘왜 그랬느냐’고 물어보니 ‘새해 인사를 하고픈 사람이 많은데 하나하나 쓰기엔 손이 느려서 그랬다’고 하시더라”며 “초대하기 기능을 배워서 잘 활용했다고 생각하시는 것 같아 안타까웠다”고 말했다.

스마트폰이 일반화되고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가 발달하면서 우리 사회의 새해 인사는 어느덧 모바일이 중심이 돼가고 있다. 하지만 이를 활용하는 방식과 문화에 대한 이해가 사람마다 다르다 보니 때로 모바일 새해 인사가 ‘천덕꾸러기’ 취급을 받기도 한다.

김은정 씨(30·여)는 ‘명절 때만’ 연락하는 대학 동기가 불편하다. 얼굴 안 본 지 어언 3년인데 설날, 추석이면 어김없이 ‘새해 복 많이’ ‘즐거운 한가위’ 같은 ‘복붙(복사해 붙인 듯한)’ 문자가 온다. 김 씨는 “‘은정아’ 같은 다정한 부름은 없이 철마다 같은 메시지가 오니 이젠 뭐라고 답할지 생각하는 것 자체가 고역”이라고 말했다.

새해 인사는 오랜 역사를 지닌 우리나라의 대표적 세시풍속이다. 조선시대 중류 이상 가정의 부인들은 ‘문안비(問安婢)’라고 하는 여종을 시켜 사돈 등 일가친척을 찾아뵙고 안부를 물었다. 남성들은 자신의 이름이 적힌 쪽지를 관원이나 상관의 집에 보냈다. 일본에서 연하장 문화가 들어온 뒤로는 손 글씨 연하장이 유행하기도 했다.

김일권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는 “이때까지만 해도 걸어서든, 편지로든 거리와 비용, 시간이라는 물리적 한계가 있어 어떤 방식으로, 어디까지 새해 인사를 할지에 대한 규범이 자연스레 정해졌다”며 “모바일 시대에는 이런 물리적 한계가 없다 보니 언제, 어떻게, 어디까지 인사를 할지가 혼란스러워진 것”이라고 진단했다. 지난해 12월 잡코리아가 성인 남녀 79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3명 중 1명이 ‘모바일 메신저로 새해 인사하는 걸 선호한다’면서도 ‘어디서 복사해 붙이는 출처 불명의 스팸 같은 새해 인사가 가장 싫다’(23.9%)고 답했다.

모바일의 편리함과 새해 연하장의 의미를 모두 살릴 수 있는 설 인사법은 없을까. 전문가들은 “같은 말이라도 이름을 넣어서 인사하는 것만으로도 특별한 의미를 지닐 수 있다”고 조언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란 대상 없는 메시지 대신 ‘○○아’라고 한마디만 앞세워도 그 메시지에 힘이 생긴다는 것이다.

모바일 기술을 활용해 자기만의 ‘정성’을 나타낼 수도 있다. 이윤상 씨(27)는 올해 1월 1일, 90세가 되신 할아버지로부터 영상편지를 받고 감동을 받았다. 이 씨는 여행을 갈 때마다 할아버지에게 영상을 보내드리곤 했다. 할아버지가 이를 보고 주변의 도움을 받아 영상편지를 보낸 것이다. 이 씨는 “어색한 영상이었지만 할아버지 마음이 전달돼 눈물이 났다”고 말했다.

단국대 심리학과 임명호 교수는 “사람들은 의미 없이 예쁜 이미지보다 단조로운 텍스트라도 의미가 담긴 것에 마음이 끌린다”며 “받는 이의 이름, 그 사람과의 추억 등 인사를 ‘개인화’할 수 있는 요소가 들어갈 때 감동이 커진다”고 말했다.

김자현 zion37@donga.com·주애진 기자

● 당신이 제안하는 이 시대의 ‘신예기’는 무엇인가요. newmanner@donga.com
#새해인사#명절#문자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