恨 남긴 채… ‘위안부 증언’ 김복동 할머니 별세

  • 동아일보
  • 입력 2019년 1월 30일 03시 00분


코멘트

3·1운동 100년해에… 생존 23명뿐

28일 숨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김복동 할머니가 생전인 2014년 4월 15일 경기 성남시청 광장에 세워진 ‘평화의 소녀상’ 얼굴을 어루만지는 모습. 성남=뉴시스
28일 숨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김복동 할머니가 생전인 2014년 4월 15일 경기 성남시청 광장에 세워진 ‘평화의 소녀상’ 얼굴을 어루만지는 모습. 성남=뉴시스
“이 늙은이들 다 죽기 전에 하루 빨리사죄하라! 알겠는가 (일본) 대사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의 1000번째 수요집회가 열린 2011년 12월 14일 서울 종로구 주한 일본대사관 앞. 김복동 할머니는 카랑카랑한 목소리로 이렇게 촉구했다. 또 “우리가 나이가 들어서 오늘내일이 바쁘다”며 일본 정부의 공식 사과를 요구했다.

하지만 김 할머니는 끝내 사과를 받지 못한 채 28일 오후 10시 41분 숨을 거뒀다. 향년 93세. 위안부 피해자의 상징이었던 그는 눈을 감기 다섯 시간 전쯤 “끝까지 싸워 달라”는 말을 남겼다고 윤미향 정의기억연대 대표가 전했다.

앞서 같은 날 오전 또 다른 위안부 피해자 이모 할머니가 향년 94세로 별세했다. 29일 현재 정부 등록 위안부 피해자 240명 중 생존자는 23명뿐이다. 김 할머니의 빈소가 차려진 서울 서대문구 세브란스병원 장례식장을 찾아 조문한 문재인 대통령은 “한 분 한 분 떠나가고 계신다.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채 떠나보내게 돼 마음이 아프다”며 안타까워했다.

1926년 경남 양산에서 태어난 김 할머니는 14세이던 1940년 일본군 위안부로 강제 동원됐다. 이후 8년 동안 중국과 홍콩,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등으로 끌려 다니며 고초를 겪었다. 1992년 위안부 피해 사실을 처음 공개한 김 할머니는 1993년 위안부 피해자 중 최초로 유엔 인권위원회에서 성 노예 피해를 증언했다.

구특교 기자 kootg@donga.com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김복동 할머니#사과 받지 못한 채#별세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