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전남도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전남지역 농가와 법인을 대상으로 소득 통계조사를 한 결과 연소득 1억 원 이상 농업인은 5027농가로 집계됐다. 2017년과 비교해 465농가(10.2%)가 늘었다.
소득 규모별로는 1억 원 이상 2억 원 미만이 3908농가(77.7%)로 파악됐다. 2억 원 이상 5억 원 미만은 933농가(18.6%), 5억 원 이상도 186농가(3.7%)에 달했다. 농가소득 10억 원 이상도 42농가(0.8%)나 됐다.
품목별로는 식량작물이 1858농가(37%)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축산이 1790농가(35.6%), 채소 720농가(14.3%), 가공·유통 분야 330농가(6.6%), 과수·화훼 329농가(6.5%) 순이다. 연령대별로는 50대가 2086농가(41.5%)로 가장 많았으며 60대 이상이 1996농가(39.7%)로 뒤를 이었다. 40대 이하 청년농업인도 945농가(18.8%)나 됐으며 귀농인 고소득 농가도 282농가(5.6%)에 달했다.
영광의 경우 보리산업 활성화로 벼·보리 재배 농가와 축산농가 집중 육성 등으로 240농가가 고소득 농가로 이름을 올리면서 부농 수가 크게 늘었다.
전남도는 시설 현대화를 통한 경영비 절감, 고품질 농축산물 생산, 재배기법 차별화, 적극적 판로 개척을 통한 안정적 판로 확보 등으로 고소득 농업인이 늘어난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친환경 농산물 유통망 조직화와 다양화, 농촌 융·복합산업화 기반 확충, 친환경 축산 실천 등도 주요 이유로 꼽고 있다.
서은수 전남도 농축산식품국장은 “스마트팜 등 농축산업 혁신성장 모델 구축, 농촌 융·복합산업 인프라 구축 등을 통해 전남 농축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겠다”고 밝혔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