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硏, 6개 시군 70개 어촌 조사… 어촌 폐쇄성-열악한 정주여건 원인
인구유입 확대 등 활성화 대책 필요
강원 동해안 어촌 10곳 중 9곳이 소멸 위험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강원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정책메모 ‘강원도 동해안 어촌의 소멸 위기와 대응’에 따르면 동해안 6개 시군의 70개 어촌을 대상으로 소멸위험지수를 분석한 결과 0.2 미만의 고위험 25곳, 0.5 미만의 위험은 39곳으로 전체의 91%를 차지했다. 2041년에는 소멸 고위험 마을이 52곳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예측됐다.
소멸위험지수는 20∼39세 여성의 수를 65세 이상 인구수로 나눈 지표로 0.2 미만은 마을소멸 고위험, 0.2∼0.5 미만은 위험, 0.5∼1 미만은 주의, 1∼1.5 미만은 보통, 1.5 이상은 낮음으로 구분하고 있다.
고위험 지역을 시군별로 보면 삼척이 14곳으로 가장 많았고 고성 5곳, 강릉 4곳, 동해와 양양이 각각 1곳이었다. 소멸 위험 지역은 양양 12곳, 속초 8곳, 고성 7곳, 강릉 6곳, 삼척 4곳, 동해 2곳 순이었다.
전체 어촌의 마을소멸지수 평균은 0.28이었다. 강원도 전체의 소멸지수가 0.58임을 감안하면 어촌 지역은 2배 이상 낮은 수준이다. 시군별 평균 마을소멸지수는 삼척이 0.16으로 고위험에 해당됐고 나머지 5개 시군은 양양 0.27, 동해 0.28, 고성 0.3, 속초 0.35, 강릉 0.4로 위험 진입 단계였다.
어촌의 소멸 위기는 급격한 인구 감소와 맥을 같이하고 있다. 강원도의 어가(漁家) 수는 1970년 1만9023개에서 2017년 2082개로 89.1% 감소했다. 같은 기간 전국 감소율 64.6%에 비해 24.5%포인트나 높다.
어업인 수도 1970년 2만2204명에서 2017년 3040명으로 86.3%가 줄었다. 이 역시 전국 감소율 71.4%에 비해 14.9%포인트 높은 수치다.
강원연구원은 어촌 소멸 위기의 원인으로 어촌의 폐쇄성과 일자리 부족, 열악한 정주여건 등을 꼽았다. 어촌계는 어업을 영위하면서 마을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지만 비어업인과의 협력이 어렵고 어촌계원 가입 문턱도 높다는 지적이 나온다.
또 수산물 생산량 급감과 피서객의 지속적인 감소로 인한 일자리 부족, 교육·문화시설의 미비도 이주민이 정착하기 어려운 여건으로 인식되고 있다.
강원연구원은 소멸 위기 극복을 위한 어촌 활성화 방안으로 일자리 창출, 인구 유입 확대, 정주여건 개선 등을 제시했다. 또 해양레저 활성화, 수산양식의 스마트화, 어촌체험 마을의 특화 상품 개발 필요성도 강조했다.
김충재 강원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일부 동(洞) 지역의 시내권 인구를 제외하면 어촌의 상황은 매우 심각하다”며 “어촌 인구의 증가 및 활성화 방안 마련으로 어촌의 소멸 위기 극복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