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유공자는 광주와 전남·북 뿐만 아니라 5·18 민주화운동과 관련된 인사라면 거주지와 상관없이 등록심의를 받을 수 있다.
보훈처의 ‘지역별 5·18 유공자 현황’자료를 보면 전체 5·18 유공자 4415명 중 2032명이 광주에 있다.
이어 Δ전남 706명 Δ서울 577명 Δ경기 489명 Δ전북 134명 Δ인천 90명 Δ부산 57명 Δ경남 52명 Δ충남과 경북 43명 Δ대구 37명 등의 순이다. 해외 거주자도 7명이다.
이들은 광주와 전남에 있던 5·18 유공자들이 다른 지역으로 이사를 갔거나 아니면 다른 지역에 거주하더라도 유공자 요건을 갖춘 피해자들이다.
일부 극우 인사들은 1980년 5월 당시 광주에 있지도 않았던 이들이 어떻게 유공자가 됐냐고 문제 제기를 하는데, 보훈처의 5·18 민주 유공자의 대상 요건을 보면 Δ5·18 당시 사망한 사람 또는 행방불명된 사람 Δ5·18로 부상당한 사람 Δ그 밖의 5·18로 희생한 사람 등이다.
5·18 당시 광주에 있지 않았더라도 대구 또는 경북 등지에 있던 누군가 5·18의 피해자라면 유공자가 될 수 있다는 얘기다.
5·18 유공자 지정 관련 법률은 ‘5·18민주화운동 관련자 보상 등에 관한 법률’과 ‘5·18 민주유공자예우에 관한 법률’ 두 가지다.
이들 법은 물론 본문 어디에도 5·18 관련자 규정에서 지역적으로 ‘광주’와 ‘전남’으로 한정하거나, 해당 기간을 1980년 5월 18일부터 언제까지라고 특정하지 않는다. ◇김대중·노무현 정권 산물…이명박·박근혜 정권때도 등록
5·18 유공자는 2002년 최초 등록 이후 해마다 적게는 수 명에서 많게는 수 백명씩 신규등록된 것으로 조사됐다.
보훈처의 ‘유공자 연도별 신규 등록 현황’ 자료를 보면 김대중 정권 시절이자 관련법에 따라 5·18 유공자 최초 등록연도인 2002년 등록자 수는 3357명이었다.
이어 Δ2003년 301명 Δ2004년 58명 Δ2005년 75명 Δ2006년 31명 Δ2007년 40명Δ2008년 36명Δ2009년 27명Δ2010년 44명 Δ2011년 11명 Δ2012년 111명 Δ2013년 88명 Δ2014년 4명 Δ2015년 7명 Δ2016년 4명 Δ2017년 169명 Δ2018년 47명 Δ2019년 1월 현재 5명 등이다.
노무현(03년 2월~08년 2월).이명박(08년 2월~13년 2월).박근혜(13년 2월~17년 3월).문재인(17년 5월~현재) 정부 시절 모두 해마다 5·18 유공자는 신규등록돼 왔다.
김대중·노무현·문재인 정부시절에 등록된 5·18 유공자는 가짜고, 이명박·박근혜 정부 때 등록된 5·18 유공자는 진짜라는 얘기는 앞뒤가 맞지 않다는 얘기다.
5·18 유공자 등록 심사위원은 모두 15명으로 이중 6명이 당연직이다. 당연직 중 1명은 광주시장인데, 2명을 임명하도록 돼 있다. 국무총리는 7명을 위촉한다.
현재 활동중인 심사위원회는 2016년 꾸려졌다. ‘특정정권에서 5·18 유공자 수가 급증했다’, ‘특정정권의 산물이다’는 주장은 명백한 거짓이다.
그간 5·18 유공자 등록은 국회가 개정한 법에 따라서 유공자 자격과 범위를 정해온 것이지, 누군가가 마음대로 지정해온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