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과 및 흉부외과 지원자 몫의 의대 정원을 따로 두는 게 근본 대책은 아니라는 시각도 있다. 의무 복무를 마친 의사의 ‘엑소더스(대탈출)’가 예상되기 때문이다. 결국 수술 의사의 길을 택해도 충분한 휴식을 취하고 보상을 받을 수 있게 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한상욱 아주대병원장은 “인구에 비해 외과 의사의 수가 부족한 지역의 대학병원에 외과 및 흉부외과 레지던트 정원을 늘려주고, 장학금 지원 혜택 등을 주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성민 기자 min@donga.com
댓글 4
추천 많은 댓글
2019-03-15 11:13:19
그저 강제로 시킬생각만하지... 위험한 수술에 대한 보상을 올려봐라. 잘못도 없는데 단순히 사람 죽었다고 의사 구속 시킬 생각 하지 말고... 대우 해줘봐라 니들이 손 안대도 저절로 외과 하겠다는 사람 늘어난다.
2019-03-15 12:13:41
세금으로 의사 면허만 따고 온갖 핑계 및 법적인 대응으로 의무 기간 안채우고 개업이나 민간병원으로 빠지는 인간들 허다하게 나올 확률 100%. 근본적인 해결할 마음은 전혀 없고 땜질식 미봉책만 덕지덕지.저런거 박수치는 사람들은 일하기 귀찮은 공무원이랑 뭣도 모르는 일반
2019-03-15 11:16:35
3000천만원 장학금 주고 의무 복무라. 이미 전문의 군의관들 복무시키고 있는데 무슨 전문대학 운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