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ews1
지열발전소에 의한 촉발지진 피해를 입은 경북 포항 시민들이 “바다에 설치된 이산화탄소(CO₂)저장 시설도 불안하다”며 철거를 요구하고 있다.
26일 포항시 등에 따르면 북구 영일대해수욕장 앞바다와 남구 장기면에 이산화탄소 지중 저장시설이 설치돼 있으며, 2곳 모두 2017년 11월 포항지진 발생으로 가동이 중단된 상태다.
미래창조과학부(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당시 이산화탄소 저장 실증사업 플렛폼으로 설치한 이 시설은 국내에서 발생한 이산화탄소를 포집·매립·처분하는 것이다.
2017년 11월 지진이 지열발전소에 의한 촉발지진으로 밝혀진 이후 포항지역에서는 “해수욕장 앞에 설치된 이산화탄소 저장시설도 촉발지진을 일으킬 수 있어 위험하다”는 소문이 돌고 있다.
© News1
영일대해수욕장 앞바다에 설치된 시설은 지하 1200m와 1100m에 각각 시추공을 뚫어 1만여톤의 이산화탄소를 저장할 수 있는 규모이며, 장기면에 설치하려던 시설은 상부 구조물 등이 철거된 상태다.
이산화탄소 저장 시설에 대해 잘 아는 익명의 한 관계자는 “포항 시설에는 2016~2017년 충남 보령화력발전소에서 발생한 이산화탄소가 매립돼 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한 시민은 “정부가 포항을 지진 실험지역으로 만들려 작정한 것이냐”고 비판했다.
그는 “지열발전소는 주민들이 사는 곳과 가깝고, 이산화탄소 저장 시설은 포항제철소 코 앞에 있다”며 “이곳에서 지진이 나면 대형 피해가 발생할게 뻔하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이강덕 포항시장도 지난 21일 시청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지열발전소와 이산화탄소 실증사업을 즉각 철회할 것”을 촉구했다.
(포항=뉴스1)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