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보건소에서 난임 주사 시술을 지원한다. 서울의료원에는 난임센터를 설치해 난임 부부들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기로 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26일 서울 중구 사랑의열매회관에서 열린 ‘민주주의 서울 간담회’에서 “보건소뿐 아니라 동네 병원 어디서나 쉽게 난임 주사를 맞을 수 있는 환경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이는 일반 병원에서 난임 주사 투여를 거부하는 바람에 병원을 떠돌아 다녀야 한다는 온라인 청원에 박 시장이 직접 답변한 자리를 마련한 것이다.
난임 여성들은 인공수정이나 시험관 시술 과정에서 4~8주가량 배와 엉덩이에 주사를 맞아야 한다. 배 주사는 배란을 유도하는 과배란 유도제다. 수정란 이식 후 착상을 유도하고 유산을 방지하는 프로게스테론 주사는 엉덩이가 딱딱하게 굳고, 잘못 놓으면 하반신 마비 등 부작용이 생길 우려가 있다.
일반 병원에서는 다른 병원에서 처방한 주사라는 이유로 투여를 거부하는 경우가 많다. 난임 치료 병원이 가까우면 문제가 없지만 멀다면 난임 치료 병원에서 발급한 주사 의뢰서를 들고 주사액을 구입한 뒤 동네 병원을 찾을 수밖에 없다. 서울시의 난임 전문 병원 71곳 중 29곳은 강남구와 송파구 등 5개 구에 몰려 있다.
간담회에 참석한 난임 여성들은 정부의 난임 시술 지원을 확대해 달라고 호소했다. 한 여성은 “난임 시술 한 번에 400만¤500만 원이 든다”며 “횟수와 나이 제한으로 난임 시술비를 지원 받을 수 없는 부부들에게 서울시가 지원을 해 달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박 시장은 “서울의료원에 제대로 된 전문 인력을 확보해 시설을 제대로 갖춘 난임센터를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이어 “난임 치료 지원 횟수와 나이 제한 완화는 보건복지부도 고민하고 있다”며 “중앙 정부의 정책이 충분하지 않다면 서울시라도 지원을 하겠다”고 덧붙였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