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에선 초등학생들이 앞장서 “독립 위해 싸우겠다”

  • 동아일보
  • 입력 2019년 4월 1일 03시 00분


[3·1운동 100주년 현장/창간 99주년]現인천 동구 창영초교서 발단
학생 수십 명 거리로 나가 “만세”… 후학들 만세운동 기념비 세워

지난달 1일 인천 동구 창영초등학교와 인근 거리에서 재현된 3·1운동 모습. 독립유공자 유족과 광복회원, 시민, 학생 등 2000여 명이 행사에 참석했다. 인천 동구 제공
지난달 1일 인천 동구 창영초등학교와 인근 거리에서 재현된 3·1운동 모습. 독립유공자 유족과 광복회원, 시민, 학생 등 2000여 명이 행사에 참석했다. 인천 동구 제공
일본은 1876년 강화도조약 이후 인천을 한반도 침략의 교두보로 삼았다. 1883년 개항한 인천은 일본 영사관을 비롯해 일본식 은행과 학교가 들어서며 일본인이 많이 거주했다. 1919년 인천 인구 2만211명 가운데 44.4%인 8973명이 일본인이었다. 이 때문에 반일정서도 강했지만 일본인의 감시를 피해 만세운동을 하기란 쉽지 않은 일이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인천의 만세운동이 처음 일어난 곳은 다름 아닌 초등학교였다. 인천공립보통학교(현 창영초등학교·인천 동구) 학생들이 인천의 3·1운동을 일으킨 것이다.

1919년 3월 1일 서울 종로 파고다공원에서 독립만세운동이 일어났다는 소식을 접한 인천공립보통학교 학생 수십 명은 3월 6일 거리로 나가 “대한독립만세”를 불렀다. 3월 8일 오후 인천공립보통학교 3학년생 김명진 이만용 박철준 손창신 등은 우각동(현 동구 금창동)에 있는 학교 건물 2층에 몰래 들어가 전화선을 끊어 경찰서와의 통신을 차단했다. 그전에 일본경찰이 학교 측에 “학생들을 감시하라”고 지시하자 이를 알아챈 학생들이 전화기를 부수고 전화선을 자른 것이다. 가택 침입 및 전신법 위반 혐의 등으로 징역형을 받은 김명진은 일본 경찰 조사에서 “내 나라 독립을 위해 한 점도 부끄럽지 않다”고 단호하게 밝혔다.

휴업에 들어간 공립보통학교 학생들은 인천공립상업학교(현 인천고교) 학생들과 합세해 만세운동을 벌였다. 이 소식이 알려지자 동참하는 행렬은 늘어 3월 9일에는 약 300명으로 불어났다. 이날 오후 기독교 신자 등 30여 명이 만국공원(현 인천 자유공원)에 모여 시위를 벌이다 강제 해산됐다.

공립보통학교 학생들의 동맹휴업은 열흘 가까이 지속됐다. 일경은 학부형 회의를 소집해 주동자 25명을 처벌하겠다고 강경하게 나왔다. 그러나 공립보통학교 전교생 405명 가운데 85명이 다음 날 결석하는 등 항일의지를 드러냈다. 이후 인천 외곽에서도 만세운동은 타올랐다. 3월 13일 인천 남쪽 소래면과 북쪽 계양면에서 주민 수백 명이 각각 소래산과 계양산에 올라 봉화를 올린 뒤 “대한독립만세”를 외쳤다. 일제는 시위가 번지자 순사대를 증원했다. 강화도 강화보통학교(현 강화초교) 3, 4학년생 100여 명도 3월 12, 13일 이틀 동안 칠판에 태극기를 그렸고 운동장에서 만세운동을 벌였다. 같은 달 24일에는 청년들이 부평장에서 만세를 부르며 면사무소로 달려갔다. 일경이 발포해 사상자가 대여섯 명이 나왔다. 이날 시위에 참가했다가 경찰에 붙잡힌 청년을 데려오기 위해 몸싸움을 하던 이은선 열사는 일경의 칼에 찔려 순국했다.

이들의 숭고한 뜻을 후학들이 기리고 있다. 인천 만세운동이 발원한 창영초교의 총동창회는 1995년 학교 화단에 ‘3·1독립운동 인천 지역 발상지’ 기념비를 세웠다. 김명진 지사의 유족은 1996년 국민 훈장과 함께 받은 연금을 장학금으로 내놓아 ‘김명진장학회’를 만들었다. 이 학교에는 만세운동 100주년 기념비를 세우고 시민 100명의 추억을 담은 타임캡슐을 묻어 50년 뒤인 2069년 3·1절에 개봉하기로 했다.

허인환 동구청장은 “동구의 남다른 항일의식은 창영초교 순국선열의 독립열망과 맞물려 인천 만세운동의 발상지가 되게 했다”며 “100년 전을 기리고 새로운 100년을 준비할 수 있도록 관련 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차준호 기자 run-juno@donga.com
#방방곡곡 3·1 그날의 함성#3·1운동 100주년 현장#인천 동구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