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학의 전 법무부 차관 별장 성접대 의혹사건을 재수사하는 수사단이 주말을 반납하고 김 전 차관의 뇌물수수 의혹과 관련해 확보한 압수물 분석에 주력하고 있다.
앞서 검찰 과거사위원회에서 넘겨 받은 뇌물 관련 기록이 부실한 만큼 수사단은 ‘대가성 입증’ 을 위해 뇌물 공여자로 지목된 건설업자 윤중천씨가 연루된 각종 형사사건 관련 기록까지 꼼꼼히 검토한다는 방침이다.
6일 검찰 등에 따르면 ‘법무부 검찰 과거사위원회 수사권고 관련 수사단(단장 여환섭 검사장)’은 4~5일 압수수색을 통해 확보한 압수물 분석을 이어간다.
수사단은 전날(5일) 경찰청 사이버안전국 디지털포렌식센터 등 3곳에 대해 1차 압수수색에서 미진한 부분을 보완하는 차원에서 추가 압수수색을 진행했다.
검찰은 4일에도 경찰청 디지털포렌식센터 압수수색을 시도했으나 영장 범위의 문제로 인해 자료를 확보하지 못했다. 이에 5일 영장을 다시 발부받아 압수수색을 실시했다.
이틀에 걸친 압수수색은 검찰 과거사위원회가 권고한 내용 가운데 윤씨가 2005년부터 2012년까지 김 전 차관에게 수천만원의 금품을 건넨 의혹과 관련해 이뤄졌다.
김 전 차관의 서울 광진구 자양동 주거지와 김 전 차관이 근무했던 강남구 삼성동 법무법인, 윤씨의 사무실, 윤씨 소유였던 강원 원주시 별장 및 윤씨가 설립한 C영농조합법인, 경찰청 디지털포렌식센터 등 10여곳이다.
수사단은 김 전 차관과 윤씨의 휴대전화, 컴퓨터 하드디스크, 압수물 중 필요한 것들을 전날 대검에 맡겨 포렌식을 의뢰했다. 두 사람이 현재 사용 중인 휴대전화를 제출받아 과거 자료가 남아있을 것이라 기대하긴 어렵지만, 검찰 수사가 본격화한 이후 통화내역에서 증거인멸 등 단서를 찾으려는 것이다. 다만 대검에 전국 검찰청의 포렌식 요청이 몰리는 탓에 해당 작업이 마무리되기까진 수일이 걸릴 전망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