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 진료데이터 분석
"미세먼지 등으로 대기오염 악화돼 환자 증가"
대기 오염 심한 날 외출 삼가…주변 청결 유지
최근 심해진 미세먼지나 스트레스 탓에 알레르기성 비염으로 병원을 찾는 사람이 늘면서 환자 수가 최근 5년 사이 92만명 이상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영유아와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 10명 중 4명이 앓고 있는 데다 환절기에 환자가 크게 느는 만큼 대기오염이 심한 날은 외출을 삼가고 주변을 청결히 유지하는 게 좋다.
15일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보면 2013년부터 2017년까지 5년간 ‘혈관운동성 및 알레르기성 비염(J30)’으로 요양기관을 찾은 진료인원은 596만8000명에서 689만2000명으로 92만4000명 증가했다.
10만명당 진료인원은 1만3530명으로 전체 건강보험 가입자의 13.5%가 진료를 받은 꼴이었다.
이로써 2013년 다빈도 상병 진리실인원 현황에서 5위였던 혈관운동성과 알레르기성 비염 환자수는 2017년 급성기관지염과 치은염, 치주질환에 이어 3위를 차지했다.
이처럼 비염 환자가 급격히 늘어난 데 대해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이비인후과 정효진 교수는 “알레르기 질환은 위생적인 환경과 선진국형 생활양식의 변화가 환자 증가 유발 인자라고 보고돼 ‘선진국병’이라고 불린다”며 “따라서 위생적인 환경에서 성장하고 있는 소아·청소년층의 경우 이로 인해 알레르기 질환에는 취약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정 교수는 “공기순환 저하 등 물리적·환경적 요인과 스트레스, 불안감, 피로와 같은 심리적인 요인이 있다”면서 “최근 미세먼지 등으로 인한 대기오염의 악화로 비염 증상으로 내원하는 환자가 이전보다 증가하고 있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연령대별로 10만명당 진료인원을 보면 9세 이하와 10대 청소년층 진료인원이 3만8443명과 1만8140명으로 첫번째와 두번째로 많았다. 각각 연평균 5.2%, 5.8%씩 증가했다. 즉, 9세 이하 어린이 10명 중 4명(38.4%)과 10대 청소년 10명 중 2명(18.1%)이 비염으로 병원을 찾았다는 얘기다.
정 교수는 “알레르기 비염의 경우 항원에 대한 감작이 소아기에 일어나는 것으로 추정되며 유전적 소인에 의해서 영향을 받기 때문에 가족력이 있는 경우 그 유병률이 증가하게 된다”면서 “알레르기 질환은 어릴 때부터 순차적으로 발병하고 일반적으로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증상이 약해진다”고 설명했다.
환자수가 연평균 3.7% 증가한 가운데 남성이 3.9%, 여성이 3.5%씩 늘었다. 여성이 남성보다 1.2배 많았던 2013년과 비교하면 2017년엔 그 차이가 1.1배까지 줄어들었다.
연령대별로 보면 19세 이하 청소년에서는 여성과 남성이 비슷했으나 30대는 여성이 1.7배, 20대는 여성이 1.5배로 큰 차이를 보였는데 이 차이는 40대 이상으로 갈수록 줄어 70세 이상에선 여성이 남성의 0.7배로 적게 나타났다.
정 교수는 “여성은 생리 중이나 임신 시에 내분비계 호르몬, 특히 혈중 에스트로겐 수치의 변화에 따라 심각한 코막힘, 수양성 비루 등의 증상이 심해질 수 있다”며 “폐경 후에 나타나는 호르몬 변화는 비점막의 위축을 가져올 수 있어 관련 증상들이 남성과 차이가 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계절별로는 환절기에 환자가 증가하는 모양새였다.
2017년 월별 진료인원 추이를 보면 100만명을 밑돌던 환자 수는 3월 110만7000명, 4월 115만4000명으로 급증한 뒤 9월 135만9000명을 시작으로 10월 106만명, 11월 123만8000명, 12월 130만8000명 등으로 증가 추세를 보였다.
정 교수는 “꽃가루기에 의한 알레르기성 비염은 한국에서 3월부터 5월, 8월 중순부터 10월로 두 차례 절정기가 있다”면서 “찬 공기는 비점막의 건조를 유발하고 비루, 비충혈, 재채기 등의 증상을 일으키게 되고 점액의 점성도를 증가시켜서 염증 매개체와 교감신경 자극에 의한 비염 증상이 유발된다”고 말했다.
이런 혈관운동성 및 알레르기성 비염은 알레르기 유발 요소에 대한 노출 정도가 중요 변수다. 따라서 금연은 물론 간접흡연도 유의해야 하며 미세먼지, 황사, 꽃가루 등이 심한 날은 가능한 외출을 삼가는 게 좋다. 또 집먼지 진드기나 곰팡이 등 알레르기 유발 요소를 멀리하는 등 청결한 실내환경 유지가 중요하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