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27일 오후 6시 서울대 행정관 앞 총회 개최
하루 만에 1078명 서명…총회 소집 기준 2배↑
성추행 및 갑질 의혹을 받고 있는 서울대학교 서어서문학과 A교수의 파면을 촉구하기 위해 전체 서울대 학생들이 나선다.
29일 A교수 사건 대응을 위한 특별위원회(A특위)에 따르면 다음달 27일 오후 6시 A교수 파면 및 학생 의견을 반영한 교원징계규정 마련을 촉구하기 위한 전체 학생총회가 열린다.
A특위는 이날 오전 서울 관악구 행정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가해 교수 파면과 재발 방지를 위한 제도 개선은 단 한 명의 결의에 불과한 것이 아니라 전체 학생의 대중적 요구임을 보여주기 위해 전체학생총회를 소집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어 “인권침해 사건과 실효성 없는 처벌이 반복되는 것에 대해 학내외에서 공분이 널리 확산되고 있으나 본부는 학생들 단식에도 해결 의지를 전혀 보여주지 않고 있다”며 “전체 학생총회에서 A교수 파면 및 학생 의견을 반영한 교원징계규정 제정을 실현하기 위한 행동방안을 안건으로 상정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A특위는 지난 27일부터 28일까지 온라인을 통해 1078명 학부생의 서명을 받아 총학생회에 총회 소집을 요청했다. 서울대 총학생회칙에 따르면 500명 이상의 동의가 있으면 총회 소집이 가능하고, 전체 학부생의 10%(약 1600명)가 참석하면 총회가 성사된다.
A특위는 이에 앞선 지난 22일 오세정 총장을 향해 재발방지를 위한 피해자의 절차적 권리 규정과 징계위원회 학생 참여, 이를 추진하기 위한 구체적 절차 마련을 요청하는 공문을 보냈으나 학교 측은 수시로 꾸려지는 징계위의 결정권이라는 이유로 미온적으로 대처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윤민정 A특위 공동대표는 “공개적으로 서명을 요청한 지 만 하루 만에 1078명 학생들이 서명에 동참해줬다”며 “학생회 몇 명의 의견이 아니라 서울대에 분노한 수많은 학생들이 구조를 바꾸기 위해 행동할 준비가 됐다는 것”이라고 했다.
또 “2016년, 2017년 시흥캠퍼스 실시협약 철회 및 성낙인 총장 퇴진을 요구하면서 열린 두 차례의 전체 학생총회와 달리 이번에는 학생들이 요구해 총회를 소집했다는 것에서 의미가 남다르다고 생각한다”며 “혼자 하는 싸움이 아니라 함께 걷는 발걸음으로 전체 학생과 함께 싸우고자 한다”고 밝혔다.
제자를 성추행하고 외국인 강사의 연구를 갈취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A교수를 둘러싼 논란은 서울대 인권센터가 A교수에게 정직 3개월의 처벌을 내리면서 불거졌다.
성추행 피해 학생은 지난해 7월 인권센터에 피해 사실을 알린 뒤 성추행으로 인정을 받았음에도 센터가 이같은 처벌을 내리는 데 그쳤다며 결국 실명 대자보를 붙여 A교수를 고발했다. 이어 외국인 강사 B씨가 A교수의 연구 갈취 및 논문 표절을 주장하기도 했다.
서울대는 A교수에 대한 징계 절차를 밟고 있지만 특위는 인권센터가 징계 수위를 징계 3개월 수준으로 권고한 만큼 징계위원회 역시 이 결정을 따라갈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투쟁에 나섰다.
A특위는 A교수 파면 및 신설되는 교원징계규정에 학생 의견을 반영할 것을 요구사항으로 내세우고 있다. 교원징계규정에 피해자가 징계절차를 확인할 수 있는 권리를 보장하고, 학생이 피해자인 경우 학생도 징계위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명시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A특위와 학교 측은 앞선 수 차례의 공식·비공식 면담에서 교원징계규정 제정안을 두고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앞서 이수빈 인문대 학생회장이 지난 3일부터 무기한 단식에 돌입했으나 건강 문제로 보름째 되는 17일 중단했다. 윤 대표와 신유림 서문과 학생회장이 이를 이어받아 무기한 단식을 시작했다가 신 회장은 22일, 윤 대표는 27일 멈췄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