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광복절을 맞아 시민사회단체가 일제 강점기 강제동원 문제를 해결하라고 일본 정부에 촉구했다. 일본 내 시민사회단체도 여기에 동참해 목소리를 보탰다.
‘강제동원 문제해결과 대일과거청산을 위한 공동행동’(공동행동)은 이날 오전 서울 중구 서울광장에서 ‘광복74주년 일제 강제동원 문제해결을 위한 시민대회’를 열고 일본에 사죄와 배상을 촉구했다.
대회가 진행되는 내내 비가 많이 내렸지만 주최 측 추산 2000여명의 참가자들은 우비를 입고 자리를 지키며 ‘피해자와 손잡고 끝까지 싸우자’ ‘우리가 역사의 증인이다, 강제동원 사죄하라’ 등의 구호를 외쳤다. 강제징용 피해자인 이춘식 할아버지(95)와 양금덕 할머니(90)도 이날 대회에 참석했다.
임헌영 공동행동 대표는 대회사를 통해 동아시아 평화를 위해서는 일본이 강제동원 문제를 반드시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 대표는 “우리는 동아시아의 평화와 역사 정의, 한국과 일본의 긴밀한 유대와 친선을 위해 이 자리에 모였다”며 “반역사적인 정치인이 등장해 나라끼리 다투면 동아시아 전체가 함께 불행해진다는 것은 이미 지난 제2차세계대전이 증명했다”고 말했다.
이어 “강제동원 피해자들이 피해 회복을 요구하는 것은 일본이 역사를 바로잡게 하려는 첫 관문”이라며 “일본이 제대로 청산하지 않는다면, 이는 앞으로도 기회가 주어진다면 다시 침략전쟁을 일으키겠다는 욕망의 표상”이라고 비판했다.
일본 내 시민사회단체들의 연대사도 이어졌다. 오다가와 요시카스 일본 전국노동조합총연합 의장과 야노 히데키 일본 강제동원 공동행동 사무국장이 단상에 올라 함께 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오다가와 의장은 “2018년 가을 한국 대법원은 반인도적 불법 행위를 저지른 기업에 대해 배상 책임을 인정했다”며 “하지만 일본 정부는 1965년 한일청구권협정으로 이 문제가 완전히 해결됐다며 한국 정부를 비난하는 태도를 취하는데 여기에 문제의 뿌리가 있다”고 입을 열었다.
이어 “(피해자) 개인의 청구권이 소멸되지 않았다는 것은 일본의 최고재판소와 외무성도 인정한 바이며 이를 인정해서 중국인 강제동원 노동자들에게는 화해금을 지급하기도 했다”며 “한국 정부의 대화 제안도 거부하고 무역 문제를 끌어들여 강경한 태도를 보이는 것은 비상식적이고 비정상적인 자세”라고 꼬집었다.
야노 사무국장도 “한국 대법원의 판결 이후 9개월이 지나도록 일본 정부와 기업은 강제동원 피해를 인정하기는커녕 사죄와 배상을 전혀 이행하지 않고 있다”며 “일본 내 정치 상황이 간단하지 않지만 피해자들이 30년 넘게 싸워온 마음에 연대해서 함께 싸워나갈 것을 결의한다”고 전했다.
지난해 10월 대법원 판결의 당사자인 이춘식 할아버지와 양금덕 할머니는 지팡이를 짚고 단상에 올랐다. 이 할아버지는 “목이 메 말을 다 못한다”며 대회 참가자들에게 고맙다는 뜻을 전했다.
양 할머니는 “일본에 가면 학교를 보내주고 돈을 벌 수 있다고 해서 갔지만 일만 하고 고생을 하다가 왔다”며 “한마음 한뜻이 돼서 일본을 규탄하고, 아베(총리)에게 사죄 한 마디를 듣는 게 소원”이라고 말을 이었다. 대회 참가자들은 두 피해자가 단상에 오를 때부터 내려갈 때까지 계속해서 박수를 보냈다.
북측 민족화해협의회도 미리 전달한 서면에서 “일본의 부당한 경제보복조치를 반대하고 민족의 존엄과 자주권을 수호하기 위해 나선 남녘의 각계층 단체와 인사들에게 굳은 연대인사를 보낸다”고 연대의 뜻을 밝혔다.
류종열 흥사단 이사장과 김명환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위원장도 일본과 한국의 시민사회가 연대해 강제동원 문제를 해결하는 데 힘을 보태자고 발언했다.
대회를 마친 참가자들은 평화를 상징하는 비둘기 모양의 풍선을 들고 서울광장에서 일본대사관으로 행진을 이어갔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