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환자에게 MRI를 찍어보자고 했더니 하신 말씀이다. MRI 검사라고 하면 일단 과잉검사라는 선입견에 선뜻 내켜하지 않고, 간혹 불만을 토로하는 분도 있다.
의료행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완치겠지만 사실 그에 앞서 필요한 것은 정확한 진단이다. 진단이란 어느 부위에 어떠한 병이 진행되고 있는지, 원인은 무엇인지를 가늠하는 것이다. 진단을 정확하게 내려야 치료 역시 그에 맞게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무릎에 통증이 있다고 무조건 관절염이라고만 섣부르게 진단을 내릴 수는 없다. 의사의 정확한 진찰과 더불어 각종 검사를 통한 객관적인 자료로 정확한 진단을 내리게 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관절·척추질환에 왜 MRI 검사가 필요할까. 엑스레이만 찍어도 되지 않을까.
뼈에 이상이 있거나 연골이 거의 닳아 뼈끼리 맞닿아 있는 말기 퇴행성 무릎관절염이라고 판단되면 엑스레이만으로도 알 수 있다. 특히 퇴행성관절염을 진단할 때는 엑스레이만으로 관절염 여부를 알 수 있다. 뼈가 닳아 생길 수 있는 골극이나 관절간격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무릎관절에서 MRI를 찍어야 할 때는 반월상 연골판 파열 여부, 뼈의 상태, 연골이 어느 정도 닳았는지 등 엑스레이상으로는 판별이 어려울 때다. 관절염은 연골에 이상이 있는 경우가 많다. 반월상 연골판이 손상됐거나 연골이 닳은 경우 마찰에 의해 무릎통증이 나타나게 되는데 반월상 연골판이나 연골의 상태는 엑스레이로는 알 수가 없다. 정확한 치료를 위해서는 MRI를 이용해 다각도에서 촬영한 연골의 상태를 확인해야 한다.
또 척추질환의 주요 증상인 엉덩이, 허벅지, 다리가 당기고 저리고 시린 증상은 결국 신경이 압박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원인을 엑스레이로는 찾아낼 수가 없기 때문에 MRI 검사를 권유하는 것이다. 이처럼 MRI는 디스크 질환, 무릎연골 손상, 인대파열 등 근골격계 질환을 정확히 진단하는 데 객관적인 자료로 유용하게 쓰인다.
관절·척추질환자에게 MRI는 질환을 정확히 진단하는 필요 요소여서 굳이 과잉검사라는 선입견을 가질 필요는 없다. 또 MRI는 기계, 병원의 위치에 따른 임차료 차이 등 여러 변수에 따라 각 병원에서 임의로 가격을 정하기 때문에 가격이 천차만별이다. 비싸다고 좋고, 싸다고 안 좋은 것은 아니어서 무조건 큰 병원으로, 비싼 검사를 좇을 필요는 없다. 앞으로 MRI도 의료보험 혜택의 영역이 넓어져 환자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