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미사일과 경계 허문 ‘초대형 방사포’…“南전역 타격 가능”

  • 뉴스1
  • 입력 2019년 8월 26일 11시 09분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이 3일 공개한 ‘신형 방사포’의 시험 발사 장면.(노동신문) © 뉴스1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이 3일 공개한 ‘신형 방사포’의 시험 발사 장면.(노동신문) © 뉴스1
북한이 지난 24일 오전 함경남도 선덕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쏘아올린 발사체를 ‘초대형 방사포’라고 발표하면서 한국형미사일방어체계(KAMD)에 부담이 될 수 밖에 없다는 분석이 나온다.

당초 전문가들은 이번 발사체를 북한이 최근 구축한 ‘신형 3종 무기체계’ 중 하나일 것으로 예상했다. 지금까지 두 차례 발사한 ‘북한판 에이태큼스’의 추가적인 시험발사로 추정하면서도 북한판 이스칸데르의 가능성을 열어뒀다.

이번 발사체의 최고도는 97㎞, 비행거리는 약 380여㎞, 최도속도는 마하 6.5이상으로 탐지됐는데 비행거리를 봤을 때 신형 대구경 조종 방사포로 보기는 어렵다고 전문가들은 판단한 바 있다. 북한이 7월31일과 8월2일 신형 방사포를 쐈을 당시 비행거리는 각각 250여㎞, 220여㎞ 나와 이번 발사체와는 차이가 난다.

그러나 북한이 전날(25일) 노동신문을 통해 공개한 18장의 관련 사진을 보면 이번 발사체는 길이나 직경, 날개 형태 등 외관상 지난달 31일과 이달 2일에 발사했다고 주장한 ‘신형 대구경 조종방사포’와 유사하다는 평가다.

다만 정점 고도와 비행거리에는 차이가 있어 신형 대구경 조종방사포와는 다른 무기라는 분석도 있다. 또 대구경 조종 방사포는 발사관이 2열 6개인 궤도형 이동식미사일발사대(TEL)에 탑재됐는데 반해 이번 초대형 방사포는 발사관이 2열 4개인 차륜형 TEL에서 발사돼 다소 차이가 있으며 발사관이 더 큰 것 같다는 평가도 나온다.

전문가들은 이번에 공개된 방사포 구경이 430㎜일 가능성에도 주목하고 있다. 기존 북한 방사포는 300㎜급(사거리 200㎞)이었고 신형 대구경 방사포는 400㎜로 추정되는데 이번의 경우 구경이 더 커졌다는 것이다.

김동엽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지난번 대구경과 달리 ‘초대형’이란 표현이나 ‘세상에 없는’이라고 한 점으로 미뤄 400㎜보다 더 직경이 커진 완전히 다른 무기체계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북한의 주장대로 이번 방사포가 새로운 무기체계라면 ‘신형 전술유도무기’(KN-23), ‘신형 대구경 조종 방사포’, ‘새 무기’(신형 전술 지대지 미사일)에 이어 네번째 신무기가 되는 셈이다.

북한의 신형 대구경 방사포는 200㎜ 이상의 구경을 가진 로켓포탄에 GPS 위성항법과 INS 관성항법 등 유도장치를 차용했을 수 있다는 분석이 이미 나온 바 있다. 아울러 일각에선 미 육군이 사용중인 GMLRS(Guided MLRS)를 장착했을 가능성도 제기하고 있다.

이에 방사포와 단거리 탄도미사일의 경계가 거의 허물어졌다는 평가가 나오는 상황에서 한국형 미사일방어망(KAMD)을 구축하는 데 어려움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특히 시험 발사에서 380㎞를 비행한 이 방사포의 최대 사거리는 400㎞ 이상일 것으로 추정되면서 F-35A 스텔스 전투기 모기지인 청주 공군기지, 경북 성주 사드기지 등 남측 전역이 타격 사정권 내로 들어와 한미 군 당국 입장에서는 대응이 시급해졌다는 평가다.

현재 우리 군은 북한판 이스칸데르급 ‘KN-23’ 단거리 탄도미사일을 충분히 요격할 수 있는 패트리엇 미사일도 작전 배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방사포에 대한 요격 수단은 마땅하지 않은 것으로 평가된다.

이에 미국 전문가들은 한국이 북한의 미사일 발사를 조기에 찾아내기 위해서는 미국의 미사일 방어체계(MD)에 참여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상황이다.

탄도미사일보다 작고 비행고도도 낮은데다 여러 발이 동시에 날아오기 때문이다.

다만 우리 군은 2012년부터는 지대공 미사일 ‘천궁’을 개량한 중거리 요격미사일 체계 M-SAM(사거리 약 30㎞)과 장거리 요격미사일 L-SAM(사거리 약 50㎞)개발에 착수해 성과를 보이고 있고 내년부터 전력화되는 요격 성능이 향상된 패트리엇 체계(PAC-3 MSE)로 ‘KN-23’ 단거리 탄도미사일 요격이 충분하다는 입장이다.

특히 국방부는 지난 14일 ‘2020~2024년 국방중기계획’을 발표하며 대포병탐지레이더-II, 230mm 다연장로켓, 전술 지대지 유도무기 등을 전력화해 북한 방사포와 장사정포 등에 대응한다는 내용을 전하기도 했다.

국방부는 또 탄도탄작전통제소 성능개량을 통해 동시 처리 표적을 현재보다 8배 이상 향상시키고, 다른 탐지·요격 무기체계와의 연동 능력도 2배 이상 향상시키겠다고 밝혔다.

국방부는 전략표적 타격을 위한 유도탄 전력을 고도화하기 위한 전략으로 현무, 해성, 장거리공대지유도탄 등 지상, 함정, 잠수함, 전투기에서 발사 가능한 정밀 유도탄을 확충하고 정전탄, 전자기펄스탄 등 비살상 무기체계도 개발해 배치할 계획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각에선 방사포와 탄도미사일은 다른 무기체계로 대응 작전 개념이 상이하기 때문에 북한이 탄도미사일과 신형 방사포를 혼용해 운용할 경우 우리 군의 대응이 어려워진다는 우려가 여전히 존재한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