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 시장은 “동남권 관문공항이 필요하다는데 전국민과 중앙정부도 공감하고 있다”며 “다만, 김해공항 확장이 동남권 관문공항 역할을 할 수 없다는 ‘부울경’과, 가능하다는 입장이 대치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30년 가까운 세월을 끌고온 문제다. 이제 막바지에 와 있다”며 “국토부와 대화가 안돼 총리실로 격상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대통령, 여당대표, 여러분야에서 이 문제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는 공감이 만들어졌다”고 말했다.
오 시장은 다만, “오랫동안 논의해왔기 때문에 지지부진하고 느슨해지는 느낌이 있다”며 국무총리실의 김해신공항 검증 발표 이후 지역사회가 다시 한번 힘을 모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부·울·경 공통문제이긴 하지만 너무 부울경에 의존했다. 결국 이 문제 주인공은 부산이다. 부산이 사느냐 죽느냐 하는 문제라는 점을 강조한다”며 “부산시, 동남권 관문공항 추진위원회, 상공회의소 등 여러 주체가 적극적으로 움직이는 데 미흡하지 않는가 생각한다”고 지역 내 유관기관에 쓴소리를 쏟아냈다.
또 “부산시의회와 정치권에서도 나름 한다고 하지만 이 정도로는 안되겠다”며 지역 정치권도 겨냥했다.
국무총리실을 향해서는 “검증위원 구성방법부터 문제가 있다”며 “총리실은 (검증위 후보) 총괄명단을 제시하고 제척할 사람을 제안하라고 한다”며 “그렇게 할 수 없다. (검증위 후보를) 공동 추천할 수 있도록 해, 우리가 추천하는 인사를 넣어달라고 요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검증대상을 더 넓혀야 한다”며 보다 확대된 검증 기준과 함께, “연말 안에 결정해야 한다. 총선이 다가오는데 정치문제가 돼선 안된다”고 총리실의 조속한 검증을 촉구했다.
관문공항을 두고 갈등을 벌이고 있는 대구·경북을 향해서도 경고 메시지를 전했다. 오 시장은 “대구·경북에서 영남권 5개 시·도가 합의한 (김해신공항) 결정을 부산에서 일방적으로 (파기)하느냐는 문제제기를 했다. 먼저 약속을 위반한 것은 대구·경북”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김해신공항 발표 당시 영남권 전체의 관문공항으로 사용하기로 했지만, 대구·경북이 결사반대하면서 박근혜 전 대통령이 대구·경북 통합공항을 발표했다. 그 당시 부울경과 논의는 없었다”고 설명했다.
또 “대구·경북이 부울경을 존중한다면 문제제기 하지 않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지역 관문공항을 같이 놓고 제안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계속해서 동남권 신공항을 반대할 경우 대구·경북 통합공항을 연계해 새로운 동남권 관문공항 건설을 주장, 신공항 논의를 처음부터 다시 하겠다는 경고성 메시지다.
그러면서 “총리실 실무검증에 대구·경북은 참여할 필요가 없다”며 “실무검증 후 정무적 판단이 필요할 때 참고하는 정도만 되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재호 의원은 “동남권 관문공항 문제가 여전히 전국적 이슈가 되지 못하는 부분이 아쉽고, 애로사항이 있다면 무엇이든 적극적으로 나서서 해결하겠다”고 정치권의 적극적 역할을 약속했다.
서의택 (사)동남권관문공항추진위원회 공동위원장은 “신공항을 향한 열의를 되살리는 방안을 논의하겠다”고 말했다.
박인영 부산시의회 의장, 전호환 부산대총장 등도 “적극적으로 발로 뛰겠다”며 지원을 다짐했다.
서의택 공동위원장은 (사)동남권관문공항추진위원회를 대표해 관문공항 건설을 위한 시민결의문을 낭독했고, 정치권의 초당적 지지와 부·울·경의 일치단결 및 투쟁을 촉구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