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사 등 전문직 41명 활동, 동별로 ‘찾아가는 치매 서비스’ 확대
치매안심센터 등 다양한 사업 실시
19일 인천 부평구 갈산1동 행정복지센터에서 ‘부평구 1호 치매안심마을’ 선포식이 열렸다. 마을 전체가 치매 환자와 가족들을 배려하고 관심 갖는 분위기를 조성한다. 부평구 제공
인천지역 10개 기초지방자치단체 가운데 노인이 가장 많이 사는 부평구가 ‘치매 친화도시’를 향한 프로젝트를 본격적으로 펼치고 있다. 정부 10대 국정과제인 ‘치매 국가책임제’를 실행할 치매 전담 부서인 ‘치매정신건강과’를 최근 신설한 데 이어 치매 걱정 없이 살 수 있는 치매공동체마을 조성, 공공 치매안심센터 및 민간 치매파트너 확대 등의 사업을 벌이고 있다.
갈산1동이 19일 치매 극복운동을 선도하는 ‘부평구 1호 치매안심마을’을 선포했다. ‘치매주민자치위원’ 등 주민 대표 30여 명이 이날 갈산1동행정복지센터 정문에 ‘치매안심마을’ 현판을 내걸었다. 부평구보건소는 갈산1동 주민들과 함께 치매 조기 검진, 치매 예방 및 인지강화교실, 치매안심업소 지정 등의 사업에 나섰다. 일상 속에서 치매 환자와 가족들에게 관심을 기울이는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 병원, 시장, 약국, 목욕탕, 음식점, 점포와 같은 다중이용시설을 대상으로 치매 인식 개선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이제 거리에서 멍하게 돌아다니거나 횡설수설하는 치매 환자를 만나게 되면 옷이나 몸에 ‘배회(치매) 인식표’를 지니고 있는지 확인해 구청이나 경찰에 연락하는 주민이 많아질 것으로 보인다. 이런 치매안심마을은 주민들의 자발적인 신청을 통해 매년 2, 3곳이 추가될 예정이다.
치매 친화도시 프로젝트를 주도하는 치매정신건강과는 일반 공무원이 아닌 간호사 38명, 의료작업치료사 2명, 사회복지사 1명 등 총 41명으로 구성돼 있다. 9월 발족된 후 동별로 치매 관리 전담인력을 배치해 ‘찾아가는 치매 서비스’를 확대했고, 치매 환자 사회안전망 사업을 본격화하고 있다.
부평보건소 내 부평구치매안심센터는 민간 위탁에서 직영 체제로 바뀌면서 치매 예방 및 조기 진단을 위한 서비스를 강화하고 있다. 부평구의 노인인구는 전국 기초지자체 중 9번째로 많은 6만9000여 명인데, 이 중 25%가량이 부평구치매안심센터의 보호를 받고 있다. 센터는 지난달 말 기준으로 치매 진단 환자 2410명, 진단 미정자 171명, 경도 인지장애자 593명, 비치매 노인 1만3767명 등 총 1만7829명에 대한 맞춤형 관리를 하고 있다. 치매가 고위험 수위로 진전되지 않도록 노력하는 한편 치매를 조기 발견해 지속적인 치료·관리가 이뤄지도록 하고 있다.
치매안심센터는 업무가 점점 많아져 2021년 말 완공될 부평4동 행정복지센터 내 5∼7층으로 이전한다. 총면적 1500m² 규모의 센터엔 치매 전담 주간보호센터(정원 48명)와 치매 환자를 위한 쉼터, 카페를 갖추게 된다.
부평구 내 치매 환자와 가족을 돕는 자원봉사자인 ‘치매 파트너’가 급격히 늘고 있다. 올해에만 2421명이 추가돼 총 4092명이 활동하고 있어 치매 안심사업과 치매 극복운동 확산에 큰 몫을 하고 있다. 김경희 부평구 치매관리팀장은 “간호사 직원이 매달 한 차례 집을 방문해 상태를 확인하고 투약 관리를 하는 치매 초기 환자가 232명이다. 요양보호사의 도움이 필요한 치매 환자들에겐 기저귀, 영양제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