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10년 간 서울 소재 대학 입학생 10명 중 3명은 졸업생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령인구 감소에도 이른바 ‘인서울’을 원하는 재도전 학생 규모가 계속 유지되고 있다.
입시업체 종로학원하늘교육은 8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10~2019학년도 서울 소재 대학 입학자 분석 결과’를 공개했다. 교육통계서비스를 토대로 최근 10년간 서울 소재 대학 입학자의 재학생·졸업성 여부를 분석한 결과다.
해당 결과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서울 소재 대학 입학자 중 졸업생 비율은 평균 32.6%로 집계됐다. 2010학년도가 28.4%로 최저였고 2017학년도가 35.4%로 가장 높았다. 2010학년도를 제외하고 모두 30%를 웃돌았다.
최근 10년간 전국 대학 입학자 중 졸업생 비율은 평균 20.8%다. 서울 소재 대학 입학자 중 졸업생 비율이 11.8%P나 높다.
오종운 종로학원하늘교육 평가이사는 이에 대해 “재수를 택한 수험생들은 자신이 원하는 대학에 가지 못 해 재도전하는 경우가 많고 또 이들 대부분이 중상위권”이라며 “서울 소재 대학의 졸업생 비율이 전국 비율보다 높은 것은 이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서울 소재 대학 입학자 중 졸업생 비율은 31.0%였다. 전년도(2018학년도) 31.8%와 비교하면 소폭 감소했는데 이는 정시모집 비율 감소(2018학년도 26.3%→2019학년도 23.8%)가 주된 원인으로 분석된다. 대학수학능력시험 응시 경험이 있는 졸업생들은 대개 수능 위주의 정시모집을 노린다.
오 평가이사는 “학령인구 감소에도 서울 소재 대학 입학자 중 졸업생 비율이 10년간 유지된다는 것은 학력·학벌이 중요하다는 인식 때문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