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은 지구 온난화의 영향을 받아 한국에서 역대 두 번째로 더운 한 해로 기록됐으며, 7개의 태풍이 한반도에 영향을 주며 역대 가장 많은 수치를 기록했다.
기상청은 16일 지난해 우리나라의 연 평균기온이 13.5도로 2016년(13.6도)에 이어 1973년 관측 이래 두 번째로 높았다고 밝혔다. 기상청에 따르면 지난해 전 세계 평균기온도 2016년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다.
기상청 관계자는 “여름철 폭염은 2018년에 비해 심하지 않았지만, 북쪽 찬 공기의 영향을 자주 받은 4월과 6, 7월을 제외한 모든 달 기온이 평년보다 1.1~1.6도 높아, 연 평균기온이 높았다”고 설명했다.
연평균 누적강수량은 1171.8㎜로 평년값(1207.6~1446.0㎜)보다 적었다. 하지만 1월은 8.1㎜의 강수량으로 역대 가장 적게 내린 달 중 하나였고 10월(169㎜)은 역대 가장 많이 내린 달로 기록, 월별 강수량 변화폭이 크게 나타난 해로 측정됐다.
또 2019년 특이 사항은 총 7개의 태풍이 한반도에 영향을 미쳤다는 점이다. 평년(3.1개)에 비해 2배 이상으로, 1950년, 1959년과 동률로 근대 기상업무(1904년)를 시작한 이래 가장 많은 태풍이 한국에 온 것이다.
지난해를 전체적으로 돌이켜보면 1월에는 중순 이후 온화하고 건조한 날씨가 이어지면서 1973년 이후 1월 강수일수는 2.8일로, 하위 1위를 기록했다. 특히 서울은 강수량 0㎜, 최심신적설 0㎝로 최소극값을 보였다.
4월에는 쌀쌀한 날씨가 주로 나타나면서 지난해 12개월 중 유일하게 전국 월평균기온(12도)이 평년값(12.2도)보다 낮았다. 이로 인해 4월에 기온이 영하권으로 떨어진 충북과 전남은 서리로 인해 과수냉해를 입기도 했다.
5월에는 최근 반복됐던 이른 고온현상이 또 나타나 전국 평균기온이 18.6도로 2017년(18.7도)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다.
6월에는 26일에 전국적으로 장마가 동시에 시작해 7월 29일까지 이어지며 평균강수량 291.1㎜를 기록했다. 그러나 강수량은 지역별로 차이가 컸다. 기상청에 따르면 평년대비 남부지방(358.4㎜)과 제주도(475.3㎜)는 강수량이 많았던 반면, 중부지방은 197.6㎜로 평년(366.3㎜)보다 크게 적어 가뭄에 영향을 줬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