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과 놀자!/어린이과학동아 별별과학백과]밭 갈고 거름주고… ‘땅 속의 만능일꾼’ 지렁이

  • 동아일보
  • 입력 2020년 2월 5일 03시 00분


코멘트

흙 사이 헤집어 공기-물 순환시키고 똥은 비료로 쓰며 건강한 땅 만들어
기후변화에 영향 받는 지렁이 군집… 지하 생물 다양성 연구의 바로미터
전 세계 ‘지렁이 생태계’ 연구 활발

영국 임피리얼칼리지의 빅토리아 버턴 연구원이 ‘지렁이 관찰대’로 활동하는 어린이들에게 지렁이 탐사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지렁이 관찰대 제공
영국 임피리얼칼리지의 빅토리아 버턴 연구원이 ‘지렁이 관찰대’로 활동하는 어린이들에게 지렁이 탐사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지렁이 관찰대 제공
지난해 10월 25일 독일 통합생물다양성연구센터의 헬렌 필립스 연구원 팀은 전 세계에 어떤 지렁이가 얼마나 사는지 조사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지금까지 지렁이의 생태계에 대한 연구는 작은 지역 단위로 이뤄졌는데, 필립스 연구원 팀이 처음으로 전 세계 자료를 정리한 거예요.

필립스 연구원은 2016년부터 전 세계 지렁이 연구자들에게 공동 연구를 하자고 제의했어요. 그래서 이번 연구는 참여 과학자 수만 봐도 어마어마해요. 37개국 140명의 연구자가 57개국 6928곳의 땅을 조사한 결과지요.

연구원 팀은 조사 장소마다 몇 종의 지렁이가, 몇 마리나 살고 있는지, 또 몇 g의 지렁이가 살고 있는지 알아봤어요. 이 자료를 분석하면 지렁이 종 다양성이 높은지, 한 마리당 크기가 어느 정도인지 등을 추론할 수 있어요. 분석 결과 연구팀은 종 다양성이 가장 높은 지역이 온대지역이란 사실을 알아냈지요. 보통 지상 생물은 기온과 습도가 높은 열대와 아열대지역에서 종 다양성이 높은데, 지하에 사는 지렁이는 이와 다른 패턴을 보인 거예요. 열대지역으로 갈수록 지렁이의 종 다양성은 줄어들었지요.

연구팀은 지렁이의 다양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봤어요. 그 결과 연구팀은 종 다양성과 질량에는 강수량이, 개체 수에는 기온이 가장 중요하다는 걸 알아냈답니다. 토질이 가장 중요할 거란 예상과는 다른 결과였죠.

연구팀은 논문을 통해 “이번 연구 결과는 기후변화가 지렁이 군집에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보여 준다”며 “지렁이 군집의 변화는 다른 생물에게 연쇄 효과를 미칠 수 있다”고 말했어요. 이어 “생물 다양성을 연구할 때 지상과는 다른 지하 생물 다양성 패턴도 꼭 연구해야 할 것”이라고 당부했지요.

○ 지렁이는 어떻게 전 세계를 차지했을까?


호주 등에 서식하는 자이언트 지렁이. 플리커 캡처
호주 등에 서식하는 자이언트 지렁이. 플리커 캡처
지렁이가 기어가는 모습을 본 적 있나요? 느릿느릿 가는 모습을 보면 답답한 느낌이 들지요. 그런데 지렁이는 빠르지도 않고, 멀리 움직이기도 힘들지만 남극을 뺀 나머지 대륙을 모두 차지했어요.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했을까요?

2017년 미국 서던일리노이대 동물학부 프랭크 앤더슨 교수팀은 현존하는 지렁이 18종의 유전체를 비교해 지렁이의 진화 과정을 연구했어요. 그 결과 지구상에 지렁이가 나타난 건 약 2억900만 년 전으로 추정했지요.

또 같은 방식으로 지렁이의 유전체를 분석한 결과 지렁이는 약 1억7800만∼1억8600만 년 전부터 크게 두 개의 부류로 나뉘었는데, 이는 각각 지금의 북반구 지렁이와 남반구 지렁이 유전체와 공통점을 가졌어요. 연구팀은 지렁이가 두 부류로 나뉜 건 당시 땅이 나뉘었기 때문이라고 봤어요. 지렁이가 두 부류로 나뉜 시기는 하나의 대륙이던 판게아가 약 1억8000만 년 전 남북으로 쪼개진 시기라는 거예요.

최훈근 지렁이농업연구소장은 “약 5억 년 전 지렁이 알 화석이 발견되며 그쯤 처음 등장했다는 주장도 있다”며 “지렁이는 사람이 살기 훨씬 전부터 지구에 살았다”고 설명했어요.

○ 다윈도 푹 빠진 지렁이, 시민과학자도 있다

토양 색깔에 따라 흙과 지렁이를 분류할 수 있는 자료. 지렁이 관찰대 제공
토양 색깔에 따라 흙과 지렁이를 분류할 수 있는 자료. 지렁이 관찰대 제공
“이 낮은 수준의 유기체만큼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다른 동물이 있을지 의심스럽다.”

이 말은 19세기 영국의 생물학자 찰스 다윈이 1881년 ‘지렁이의 작용에 의한 부식토의 형성’이란 책을 내면서 지렁이를 평가한 내용이에요. 그는 비글호를 타고 여행을 다녀온 뒤 집 근처 밭에서 지렁이를 키우며 40년 동안 지렁이를 연구했답니다.

다윈은 지렁이가 1년 동안 약 0.2∼0.5cm 깊이의 흙을 수직으로 섞으며, 이때 표면으로 올라오는 흙만 1ha(헥타르)를 기준으로 17∼40t에 달한다고 결론 냈어요. 지렁이의 똥이 농작물 비료로 작용한다는 사실도 밝혔답니다.

영국에는 지렁이로 과학 활동을 하는 시민들이 있어요. 시민 1850명이 자신이 사는 곳 주변에서 지렁이를 찾고 어떤 종인지, 몇 마리가 있는지 등을 조사하는 거죠. 이들은 스스로를 ‘지렁이 관찰대’라고 부릅니다. 이 프로젝트를 기획한 영국 임피리얼칼리지의 빅토리아 버턴 연구원과 인터뷰를 했어요.

―어떻게 ‘지렁이 관찰대’를 시작하셨나요?


“저는 목초지나 경작지 등 땅의 용도에 따라 토양생물의 다양성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연구하고 있어요. 그런데 저 혼자 영국 전체에서 토양생물을 찾는 건 벅찬 일이었죠. 그래서 시민 과학자들의 도움을 받기로 했답니다.”

―왜 하필 지렁이인가요?


“지렁이는 건강한 토양을 위해 꼭 필요한 존재예요. 지렁이가 헤집고 다닌 흙 사이로 물과 공기가 들어가면서 식물이 더 잘 자라요. 그런데 사람들은 지렁이보단 조류나 포유류에게 관심이 더 많죠. 저는 사람들의 관심을 돌리고 싶었답니다.”

―그럼 시민 과학자들이 모은 자료는 어떻게 쓰이나요?


“시민 과학자들은 탐사 지역과 토양의 습도, 색깔, 질감, 그리고 지렁이의 색깔과 개체 수를 기록해요. 이 자료를 분석해 지렁이들이 토양 속 수분에 민감하단 사실을 알아냈어요. 또 유기질 비료를 쓴 곳엔 약 20% 더 많은 지렁이가 살고 있었지요. 곧 논문으로 정리된 시민참여과학의 결과를 볼 수 있을 거예요.”

신수빈 어린이과학동아 기자
#지렁이#기후변화#생물#토양생물#시민 과학자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