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동아일보
오피니언
정치
경제
국제
사회
문화
연예
스포츠
헬스동아
트렌드뉴스
통합검색
언어선택
방문하고자 하는 언어의 홈페이지를 선택하세요.
한국어
English
中文(簡体)
日本語
마이페이지
전체메뉴 펼치기
사회
“신종 코로나 공기 감염 여전히 논란…멀리있는 사람 전염 희박”
동아닷컴
업데이트
2020-02-11 10:45
2020년 2월 11일 10시 45분
입력
2020-02-11 10:31
2020년 2월 11일 10시 31분
정봉오 기자
구독
코멘트
개
좋아요
개
공유하기
공유하기
SNS
퍼가기
카카오톡으로 공유하기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트위터로 공유하기
URL 복사
창 닫기
즐겨찾기
읽기모드
뉴스듣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가
가
가
가
가
창 닫기
프린트
(포항=뉴스1) 이강덕 경북 포항시장과 허대만 더불어민주당 경북도당위원장이 10일 오후 포항시 북구 흥해종합복지센터에서 열린 포항지진특별법 시행령 주민설명회에서 얘기를 나누고 있다. 2020.2.10/뉴스1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신종 코로나)의 공기 전파 가능 여부에는 논란이 있을 수밖에 없다고 전문가는 지적했다.
방지환 중앙감염병병원운영센터장은 11일 오전 10시 서울 종로구 국립중앙의료원에서 열린 신종 코로나 중앙임상태스크포스(TF) 기자회견에서 신종 코로나의 공기 전파 가능성을 언급했다.
호흡기 감염증의 전파는 크게 비말감염과 비말핵감염으로 나뉜다. 비말핵감염을 공기감염이라고 한다.
방 센터장은 “호흡기 감염증 환자가 기침을 하면 작은 물방울이 나온다. 이게 비말이고, 비말이 공기 중에서 물기가 마르면 작고 가벼워진다. 이 작고 가벼워진 덩어리를 비말핵이라고 한다. 비말핵은 작고 가볍기 때문에 방안 전체를 오염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비말, 비말핵 전파가 딱 나눠지는 게 아니다”면서 “바람의 세기, 병원체의 밀도 등에 따라 비말과 비말핵이 애매한 경우가 많다. 그렇기 때문에 항상 호흡기 감염증에 대해선 비말핵 감염이 가능하지 않느냐에 대한 논란이 있기 마련”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비말핵 감염이 된다고 해도 반복적으로 노출되고, 또 고밀도로 노출되는 게 중요하다”며 “공기 감염이 되는 환자가 있다고 해도 멀리 있는 분이 감염이 되는 경우는 상대적으로 드물다. 바로 옆에 있는 분이 대개 감염된다”고 설명했다.
현재 의학적으로 비말핵 감염이 되는 것으로 확인된 질병은 홍역·수두·두창·결핵 등이다.
정봉오 동아닷컴 기자 bong087@donga.com
좋아요
0
개
슬퍼요
0
개
화나요
0
개
댓글
0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등록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美, 우크라에 희토류 지분 50% 요구…젤렌스키 거부
“금값은 한 번 오르면 10년간 올라… 이번 사이클은 2019년 시작”
직장에선 ‘투자의 귀재’, 알고 보니 대출 사기꾼
좋아요
0
개
슬퍼요
0
개
화나요
0
개
0
닫기
댓글
0
뒤로가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