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에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이름으로 익숙한 중국 우한발(發) 바이러스의 명칭이 12일부터 ‘코로나19’로 공식 바뀌었다.
같은 날 먼저 세계보건기구(WHO)는 스위스 제네바 소재 본부에서 이 바이러스 명칭을 ‘COVID-19’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정부는 ‘COVID-19’보다 익숙한 ‘코로나’ 단어를 살려 WHO 명칭과 다르게 지은 것이다.
김강립 중앙사고수습본부 부본부장(보건복지부 차관)은 이 날 정례브리핑에서 “영어식 이름이 긴 편이어서 질변관리본부 의견을 수용해 정부 차원에서 ‘코로나19(일구)’라는 한글 표현을 별도로 명명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WHO가 명명한 ‘COVID-19’는 ‘씨오브이아이디-일구’라고 발음하는 만큼 ‘코로나19’보다 긴 편이다. 첫 글자인 씨오(CO)는 코로나(Corona)를 의미한다. 그 뒤 브이아이(VI)는 바이러스(Virus), 디(D)는 질환(Disease) 그리고 일구는 이 바이러스가 처음 발견됐던 시점인 2019년말의 뒷숫자를 말한다.
정부가 ‘코로나19’ 명칭에 ‘코로나’ 단어를 포기하지 않은 이유는 이 바이러스가 ‘사스’나 ‘메르스’와 같은 코로나 계열 바이러스임을 명시하기 위함으로 해석된다.
우리는 보다 간결한 표기를 위해 WHO식 이름에 포함된 ‘-(하이픈)’까지도 뺐다. 대신 다른 종류의 코로나바이러스와 구분하기 위해 WHO 명칭처럼 ‘19’를 포함시켰다. 다만 영문 표기는 WHO의 ‘COVID-19’를 그대로 쓴다.
‘COVID-19’나 ‘코로나19’는 ‘우한’이나 ‘중국’ 등의 글자가 빠진 게 공통점이다. 명칭에 특정지역이나 인물 등이 표기될 경우 차별 등 낙인이 이뤄질 수 있어서다. 정부도 앞서 국내에서 많이 썼던 ‘우한 신종코로나’나 ‘우한폐렴’ 등의 명칭사용을 자중해달라고 요구한 바 있다.
김강립 부본부장은 “WHO가 질병 이름 낙인이 되지 않도록 지리적 위치, 동물, 개인 또는 사람 집단을 지칭하지 않고, 발음이 용이하면서 질병과 관련 있는 이름을 고려해 결정한 것”이라며 “앞으로 정부가 질병 정책을 수립함에 있어서도 이 점을 유의하겠다”고 밝혔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