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약 미군의 계획이 성주기지의 사드 발사대를 평택 등 수도권으로 이동시키려 하는 것이라면 중국이 강하게 반발할 가능성이 하면서 사드 논란이 재연될 소지가 있다. 북한도 반발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우리 국방부는 이에 대해 사드 포대의 수도권 배치를 내다보는 것은 무리라는 입장이다. 미 국방부로부터 사드 시스템에 대한 전반적인 성능 업그레이드에 대한 얘기는 있었지만 다른 지역 배치 문제가 논의된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국방부 당국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사드 포대 배치에 대한 부분은 현재까지 성주 이외에 추가로 논의되는 지역은 없다”며 “사드 성능에 대한 기술적 진전이 있는 다음에 진전이 있을 수 있는 부분”이라고 말했다.
이어 “앞서 주한미군이 비활성화탄을 사드 발사대에 장착했다는 테스트를 성공했다고 하지만 그것이 수년 내에 바로 실현되는 것은 아니다”라며 “장기적인 플랜은 있지만 그것이 실체화되는 시기는 아직 예단할 수 없다”고 섣부른 판단의 자제를 당부했다.
사드 발사대가 성주 내 이동이 있을지, 성주 이남 또는 이북으로 추가 배치가 될지 등에 대해선 현 시점에서 미리 판단해 대응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이 당국자는 “사드 체계를 패트리엇미사일과 연동하는 것과 관련한 성능 개량에 대한 미측의 설명은 들었지만 그것이 추가 배치를 뜻하는 것은 아니라고 본다. 만약 추가 배치가 있다면 그것은 반드시 한미간 협의가 필요한 부분”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한편 미국이 성주 사드부대 운용에 필요한 건설 비용 등을 한국이 분담할 가능성을 밝힌 것도 주목할 부분이다.
미국 국방부가 이달 초 의회에 제출한 2021 회계연도 예산안에 따르면 미 육군은 탄약 보관시설, 상하수도·전기시설 등 성주 부지 개발 비용으로 4900만 달러를 배정했다. 미 육군은 이 예산에 대해 “주둔국이 자금을 댈 가능성이 다뤄져 왔다”며 “주둔국 프로그램의 자금이 이 요구사항을 지원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동안 한국 정부는 사드 배치 비용의 경우 미국이 부담한다는 원칙을 수차례 확인했는데 미국이 한미 방위비 분담금과 관련해 관련 비용 분담을 요구한 것으로도 해석할 수 있는 대목이라 논란이 예상된다.
이에 대해 국방부 당국자는 “현재까지 한미 간 사드 기지 개발과 관련해서 방위비 관련 논의는 없는 것으로 안다”며 “사드 기지에 대한 환경영향평가가 완료된 다음 긴밀한 협의를 거쳐야 하는 부분”이라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