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신천지예수교회(이하 신천지)에 교육생 7만여명의 명단도 제출해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확인됐다. 또 신천지 전체 신도 약 21만명에 대한 전수검사를 하지 않고 유증상자만 바이러스 검사를 진행하기로 했다.
김강립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총괄조정관(보건복지부 차관)은 27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교육생은 약 7만명으로 파악하고 있다”며 “이 명단도 이날 오전 방역대책본부에 명단을 제출하도록 (신천지에) 요청했다”고 밝혔다.
이어 “신천지 측은 교육생은 아직 신도가 아니라는 이유로 명단 제공에 어려움이 있다는 입장”이라며 “이에 대해서도 다시 명단 제출을 요청했다”고 덧붙였다.
김강립 1총괄조정관은 이날 신천지 신도 21만명을 대상으로 바이러스 전수검사를 진행하지 않고, 유증상자에 한해 검사를 진행하겠다는 뜻도 재차 밝혔다. 신천지 교인에 대한 검사에 집중할 경우 일반시민들의 검사가 지연되는 등 부작용이 더 크다는 판단에서다. 현재 대구에서는 하루에 7000~1만건의 검사가 이뤄지고 있다.
김강립 1총괄조정관은 “보건소 등을 통해 (신천지 신도) 증상 여부를 먼저 확인하고 있다”며 “21만명을 전수검사할 필요성이 있는지, 그럴 경우 병목 현상에 따라 일반시민들이 검사가 오히려 지체될 우려가 상당히 높다”고 설명했다. 이어 “우선은 증상 여부를 파악한 뒤 의심되는 (신도에 한해) 검사를 진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삼았다”고 덧붙였다.
김강립 1총괄조정관은 경기도 사례에 비춰볼 때 신천지가 제출한 명단이 정확하지 않다는 지적에 대해 “경기도 명단은 소속 교회 기준으로 만든 것이고, 정부는 지역에 따라 신도를 분류했다”며 “아울러 미성년자는 제외했으며, 부모를 통해 확인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이어 “명단 적정성에 문제가 있다면 방역상에 모든 조치를 강구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며 “그 수준에 따라 취할 수 있는 모든 조치를 염두에 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중대본은 코로나19 의료 현장에서 환자를 분류하는 데 어려움이 크다는 지적을 고려해 별도의 지침을 만드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 이르면 이날 일선 선별진료소 등에 배포될 것으로 보인다. 환자 분류가 늦어지는 병목 현상에 따라 중증 환자들이 제때 치료를 받지 못한다는 지적에 따른 후속조치다.
김강립 1총괄조정관은 “대구 지역은 확진자 수가 급격하게 늘고 중등도에 따라서 적절한 병상을 배치받는 데 시간이 소요되고 있는 게 현실”이라며 “환자 중증도를 신속하게 현지에서 판단하도록 방역대책본부와 논의 중이며, 최종적으로 전문가 검토를 받고 있다”고 밝혔다.
정부는 또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14종의 사회복지시설에 휴관을 권고했다. 휴관 기간은 2월 28일부터 3월 8일까지다. 대구 지역 의료기관에 건강보험 요양급여비용을 미리 지급하는 특례제도 역시 시행하고 있다.
한편 이날 오전 9시 기준 코로나19 국내 확진환자 수는 1595명으로 집계됐다. 확진환자 수를 집계한 이래 최대 증가 폭이다. 사망자는 1명이 늘어 총 13명으로 증가했다.
댓글 2
추천 많은 댓글
2020-02-27 18:22:49
한번도 경험 해본적 없는 나라, 줄여서 '신천지' 라고 함.
2020-02-28 00:37:03
취직이 안되니 전부 신천지에 취직하는구먼